| 한자 | 龍과 鳳凰의 配匹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요령성 심양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환상담|유래담 |
|---|---|
| 주요등장인물 | 뱀선비|막내딸|용|봉황 |
| 모티프유형 | 뱀의 출산|용과 봉황이 된 내력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81년 4월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83년 |
| 채록지 | 요령성 심양시소가둔구 |
요령성 심양시에서 뱀의 모습을 한 선비와 그 아내가 이별과 재회의 과정에서 용과 봉황이 되었다고 전해지는 이야기.
중국 설화 학자 배영진(裵永鎭)이 1981년 한인[조선족]이 모여 사는 심양시 소가둔에 설화 채집을 갔을 때 한 친척으로부터 김덕순이 대단한 이야기꾼이라며 소개를 받았다. 이에 배영진은 김덕순[당시 81세]을 만나 며칠을 두고 채록을 하였다. 당시 구술된 자료 중 「룡과 봉황의 배필」은 1983년 발행된 『김덕순 고사집(金德順故事集)』[상해 문예 출판사]에 「龍鳳匹配」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1991년 민속원에서 간행한 『조선족 구비 문학 총서(朝鮮族口碑文學叢書)』(21)에 전체 내용이 영인 되었으며 2005년 보고사에서 발행한 『김덕순 민담집』에 그 내용이 번역되어 있다. 「룡과 봉화의 배필」은 『김덕순 민담집』의 제목을 따른 것이다.
옛날 아주 먼 곳에서 어떤 늙은 부부가 일점혈육도 없이 가난하고 쓸쓸하게 살고 있었다. 부부는 자식을 낳고자 석 달 열흘을 칠성신께 빌었더니 과연 태기가 생겼다. 부부는 기뻐하며 출산을 기다렸는데, 출산 당일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할머니가 사람이 아닌 뱀을 낳은 것이었다.
영감은 눈물을 흘리며 괴물을 버리자고 했지만, 할머니는 속상하지만 함부로 버릴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런데 뱀은 신기하게도 몸을 움직이며 “아버지, 어머니!”라고 부르는 것이었다. 늙은 부부는 이 말에 너무 기뻐하며 뱀을 아들로 생각하며 키우기 시작했다.
늙은 부부는 앞 뜨락에 사는 박 양반 댁과 사이가 좋았다. 이 집에는 세 딸이 있었는데 할머니가 출산을 할 때, 모두 할머니를 보러 온 적이 있었다. 첫째와 둘째는 뱀을 보고 섬뜩하다고 놀랐지만, 막내만 ‘용태자를 낳았다.’고 웃으며 말했다.
세 딸이 집으로 돌아가자 뱀은 부모님께 셋째 딸을 아내로 삼고 싶다고 말했다. 늙은 부부는 말도 안 된다며 뱀의 말을 무시했지만, 뱀이 거듭 청하자 결국 박 양반에게 가서 청혼을 했다. 박 양반은 이 말을 듣고 성을 내었지만, 셋째 딸은 용태자에게 시집을 가겠다고 아버지께 말했다.
박 양반은 졸지에 아끼는 딸을 뱀에게 시집보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궁리 끝에 박 양반은 자신이 낸 두 문제를 해결하면 뱀을 사위로 삼겠다고 말했다. 먼저 박 양반은 뼈가 있는 닭 알을 요구했다. 이에 뱀은 닭 알 하나를 박 양반에게 주었는데, 곧 닭 알에서 껍질이 깨지더니 병아리가 나왔다.
두 번째 문제로 박 양반은 십리탕 한 그릇을 요구했다. 이번에도 뱀은 오리 두 마리가 들어간 오리탕을 박 양반에게 주었다. 뱀이 두 문제를 모두 해결했기에, 박 양반은 셋째 딸을 뱀에게 시집을 보냈다.
혼례를 치른 날, 뱀은 영준한 총각으로 변했다. 셋째 딸은 남편이 인간으로 변하자 너무 기뻐했다. 뱀 신랑은 아내에게 자신의 허물을 건네주며 남에게 빼앗기지 말라고 신신당부했다. 그리고는 자신은 과거를 보러 서울로 떠났다.
그런데 이 광경을 두 언니가 모두 지켜봤던 것이다. 맏이와 둘째는 막내가 잠들자 그녀 품속에 있던 뱀 허물을 빼앗고 화로에 태워버렸다. 이때 뱀 신랑은 장원급제를 하고 궁에서 자고 있었는데, 불시에 몸이 타면서 용으로 변하여 아내의 곁으로 날아갔다. 막내는 뱀 허물이 타버리자 남편이 죽은 줄 알고 슬퍼하다가 이내 목숨을 끊었다. 죽은 아내를 본 뱀 신랑이 통곡을 하자, 두 줄기 눈물은 삽시간에 강으로 변했다.
다음날 날이 밝자, 뱀 신랑은 눈물을 훔치고 신부를 안고 하늘로 날았다. 순식간에 하늘에는 용 한 마리와 봉황 한 마리가 나타나더니 천궁을 향해 날아갔다. 이때부터 사람들은 하늘에 용과 봉황이 생겼다고 전하며, 아름다운 인연을 가리켜 용과 봉황의 배필이라 불렀다.
「룡과 봉화의 배필」의 주요 모티프는 ‘뱀의 출산’, ‘용과 봉황이 배필이 된 내력’ 등이다. 자식이 없던 늙은 부부에게 뱀이 아들로 태어난다. 부부는 놀랬지만 뱀을 아들로 생각하고 기른다. 뱀은 이웃의 박양반 댁 셋째 딸과 혼인을 하는데, 인간과 동물이 혼인을 한다는 점에서 「룡과 봉화의 배필」은 이류교혼담(異類交婚譚)으로 볼 수 있다.
뱀은 인간으로 변하고 과거를 보러 집을 떠난다. 홀로 남겨진 아내는 두 언니의 방해로 남편의 허물을 태우게 된다. 부인은 자책하며 죽음에 이르고, 결국 남편과 아내는 용과 봉황이 되어 천궁으로 날아간다. 이 이야기의 마지막 장면은 용과 봉황의 유래를 설명하는 점에서 유래담의 성격도 지닌다.
한편, 「룡과 봉화의 배필」은 한국의 민담 「구렁덩덩 신선비」와 유사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구렁덩덩 신선비」는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큐피트 사이키 신화」와 같은 서사 유형으로 아르네-톰슨의 유형 분류항 「잃어버린 남편을 찾아서(The Search for the Lost Husband, AT425)」의 한판도 전승유형이라 할 수 있다. 본래 이 이야기는 농경 생산 신화였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 전승되고 있는 각 편들은 흥미 본위의 민담으로 변모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