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으로 소를 바꾸기」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요령성 심양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소화(笑話)|트릭스터담
주요등장인물 김선달|김지주
모티프유형 병아리를 건네주고 송아지를 얻은 내력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1년 4월
수록|간행 시기/일시 1983년
채록지 요령성 심양시 소가둔구
정의

요령성(遼寧省) 심양시(瀋陽市)에서 김선달이 꾀를 써서 병아리를 송아지로 바꾼 것과 관련하여 전해지는 이야기.

채록/수집 상황

중국 설화 학자 배영진(裵永鎭)이 1981년 한인[조선족]이 모여 사는 심양시 소가둔(小家屯)에 설화를 조사하러 갔을 때 한 친척으로부터 김덕순이 대단한 이야기꾼이라며 소개를 받았다. 이에 배영진은 김덕순[당시 81세]을 만나 며칠을 머물며 채록을 하였다. 당시 구술된 자료 중 「닭으로 소를 바꾸기」는 1983년 발행된 『김덕순 고사집(金德順故事集)』[상해 문예 출판사]에 「用雞換牛」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1991년 민속원에서 간행한 『조선족 구비 문학 총서(朝鮮族口碑文學叢書)』(21)에 전체 내용이 영인 되었으며, 2005년 보고사에서 발행한 『김덕순 민담집』에 그 내용이 번역되어 있다. 「닭으로 소를 바꾸기」는 『김덕순 민담집』의 제목을 따른 것이다.

내용

옛날 욕심 많고 인색한 김씨 지주가 있었는데 김선달과 이웃이었다. 김씨 지주는 김선달에게 이익을 본 적이 없었기에 호시탐탐 그에게서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어느 해 봄, 김선달네 암탉이 새끼를 낳았다. 김씨 지주는 병아리에 눈독을 들이고는 하루에도 몇 번씩 병아리를 빼앗을 방법을 궁리했다. 어느 날 아침, 김선달이 병아리에게 모이를 주는데 김씨 지주가 병아리를 찾으러 왔다고 말했다. 김선달이 "무슨 말이냐?"고 물어보니, 김씨 지주는 "우리 집 수탉 때문에 암탉이 새끼를 낳았다."라며 자신이 병아리의 주인이라고 했다. 이에 김선달은 잠깐 생각하다가 기쁜 표정으로 김씨 지주에게 병아리를 건네주었다.

시간이 흘러 가을에 접어들자, 김씨 지주네 암소가 새끼를 낳았다. 김선달은 김씨 지주에게 송아지를 찾으러 왔다며 외양간에서 송아지를 끌고 나왔다. 김씨 지주가 자신의 소를 훔쳐간다소 욕을 하자, 김선달은 "우리 집 수소 때문에 암소가 새끼를 낳았다."라며 자신이 송아지의 주인이라고 말했다. 김씨 지주는 김선달이 소를 끌고 가는 것을 멍하니 바라보며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

모티프 분석

「닭으로 소를 바꾸기」의 주요 모티프는 ‘병아리를 건네주고 송아지를 얻은 내력’이다. 김선달과 이웃인 김씨 지주는 그에게서 병아리를 빼앗는다. 자기네 수탉 때문에 김선달네 암탉이 병아리를 낳았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그런데 김선달은 이를 순순히 받아들이고 병아리를 내어준다.

얼마 뒤, 김선달은 같은 이유로 김씨 지주네 송아지를 빼앗는다. 즉, 김씨 지주는 자신의 꾀에 자신이 넘어간 셈이다. 「닭으로 소를 바꾸기」는 김선달이 잔꾀를 부리는 김씨 지주를 골탕 먹이는 트릭스터담에 해당된다.

참고문헌
  • 손진태, 『조선 민족 설화의 연구』(을유 문화사, 1947)
  • 최인학, 『백두산 설화』(밀알, 1994)
  • 장덕순 외, 『구비 문학 개설』(일조각, 2006)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편 『김덕순 민담집』(보고사, 2010)
  • 국립 민속 박물관 편,『한국 민속 문학 사전』(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임채완 외, 『근현대 중국 조선족 문헌집』(북코리아, 2012)
  • 배영진, 『김덕순 고사집』(상해 문예 출판사, 1983)
  • 조희웅, 「트릭스터담 연구」(『어문학논총』 6, 국민 대학교 어문학 연구소, 1987)
  • 나수호, 『한국 설화에 나타난 트릭스터 연구』(서울대 박사 학위 논문, 2011)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