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오 이튿날에 있은 일」

한자 端午 이튿날에 있은 일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항일 전설
주요등장인물 이씨 농민|탈옥한 공산당원
모티프유형 공산당원의 탈옥|이씨의 도움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2년 7월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6년 4월
채록지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에서 연길 감옥을 탈옥한 공산당원을 숨겨준 한 농민의 행동과 관련하여 전해지는 이야기.

채록/수집 상황

1992년 7월 김태갑, 박창묵이 편찬하고 연변인민출판사에서 출판한 『항일 전설 설화집』 ‘연길현’편에 이혜선이 정리한 것이 수록되어 있다. 2006년 보고사에서 간행한 『향토 전설집』에 항일 전설과 관련하여 같은 내용이 재수록 되었다.

내용

1935년 음력 5월 6일, 단오 이튿날에 벌어진 일이었다. 연길 용포동에 이씨 농민은 집에 남아 있고 그의 어린 딸은 연길로 운동을 보러 갔다. 그의 딸은 운동 경기를 구경하고 집으로 돌아오는데 칼을 찬 일본 헌병대가 몰려오고 있었다. 연길 감옥을 탈옥한 사건이 벌어졌기 때문에 헌병대에서 사람들을 잡아다 탈옥 사건과 연루된 사람을 찾는다는 것이었다. 이씨 농민의 딸 역시 헌병대에게 잡혔으나, 나이가 어려서 그날로 풀려나왔다.

딸이 늦은 저녁 집에 들어가니 집안은 섬뜩할 정도로 조용했다. 딸이 이상한 생각이 들어 윗방 안을 구멍으로 살펴보니 낯선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은 연길 감옥에서 탈옥한 네 명의 공산당원이었다. 이씨 농민은 그들에게 밥을 대접하며 숨겨주었던 것이었다.

이씨 농민은 딸을 밖으로 불러 함께 짚단을 정리했다. 이때 사람들이 이씨 농민의 집을 찾아 왔다. 이씨 농민은 자신을 찾아오는 사람들과 태연하게 인사를 주고받으며 짚단을 정리했다. 그가 짚단을 정리한 이유는 사람들이 방 안으로 들어갈까 봐 밖에서 일하는 체했던 것이다. 이번에는 촌장을 앞세우고 한 무리의 사람들이 찾아 왔다. 이씨 농민이 급히 삽짝문[‘사립문’의 북한어]으로 나오니 그들은 감옥에서 도망친 공산 당원의 행방을 물었다. 이씨 농민이 시치미를 떼며 모른다고 하니 그들은 발걸음을 돌렸다.

이씨 농민은 계속 짚단을 정리하며 망을 보았으며 새벽녘이 되자 숨어있던 공산당원은 마을을 떠나 도망쳤다. 한 보통 농민인 이씨의 도움으로 연길 감옥을 탈옥한 네 사람은 항일 혁명 대오에 합류할 수 있었다.

모티프 분석

「단오 이튿날에 있은 일」의 주요 모티프는 ‘공산 당원의 탈옥’, ‘이씨의 도움’ 등이다. 1935년 5월 발생한 연길 감옥 탈옥 사건을 바탕으로 하여 구성된 이 이야기는 목숨을 걸고 탈옥한 공산 당원을 구해주는 이씨의 행동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씨가 망을 보기 위해 거짓으로 짚단을 옮기는 척하여 공산 당원을 탈출시킨 모습에서 이씨의 용기와 지혜를 읽어낼 수 있다. 이 점에서 「당오 이튿날에 있은 일」은 이씨의 용기를 부각한 지혜담 및 영웅담으로 이해된다.

참고문헌
  • 장덕순 외, 『구비 문학 개설』(일조각, 2006)
  • 김태갑·박창묵 편, 『항일 전설 설화집』(연변인민출판사, 1992)
  • 연변대학 조선 문학 연구소, 편 『향토 전설집』(보고사, 2006)
  • 하미경, 「중국 조선족 항일 설화 연구」(『국어 국문학』 34, 부산 대학교, 1997)
  • 허경진·김창화, 「조선족 항일 투쟁관련에서 생성된 설화에 대하여」(『영주어문』 23, 영주 어문 학회, 2012)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