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항일 전설 |
|---|---|
| 주요등장인물 | 우복동 부녀회원|일본군 수비대 |
| 모티프유형 | 우복동 부녀회원들의 무장 탈취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92년 7월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6년 4월 |
| 채록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화룡시(和龍市)에서 한인 부녀자들이 일본군 수비대의 무기를 빼앗은 내용과 관련하여 전해지는 이야기.
1930년 가을, 화룡현 우복동 한 마을에 최 씨네 두 형제가 살았는데, 그들은 어머니의 도움을 받아 집안에 들어온 토비(土匪) 두 명을 사로잡고 장총 두 자루를 빼앗았다. 이때부터 마을 사람들은 그들 두 형제를 ‘주먹 장군’이라 불렀다. 그런데 이 이야기에 이어 그 동네 여인들이 적들에게 물벼락을 안기고 총을 빼앗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어느 날, 일본군 수비대 한 무리가 유격대를 쫓아 산속을 헤맸다. 그러던 중, 수비대 두 명이 대오를 잃어 인가를 찾아 헤매었다. 그들은 멀지 않은 곳에 불빛이 보이자 허기를 채워보려고 동네에 들어왔다.
이 동네 부녀회 회장은 대오를 잃은 수비대 두 명이 오는 것을 보자 ‘주먹 장군’에 대한 일이 번뜩 생각났다. 이에 부녀회 회장은 마을 여인들을 외딴집에 모아두고 웃고 떠들며 수비대를 유인했다. 수비대 두 명이 외딴집에 이르자 여인들은 웃으며 그들을 맞이했다. 수비대는 ‘이게 웬 떡이냐’는 듯 집안에 들어가며 즐거워했다.
수비대는 술을 마시며 자신들이 공산당 토벌했던 이야기를 했다. 여인들은 수비대의 말을 받아주며 술을 계속 권했다. 술이 거나하게 취하자, 여인들은 수비대의 발을 씻겨주었다. 수비대는 발을 씻고 여인들의 품을 생각에 정신이 나가 있었다. 그때 가마목에서 기회를 노리던 부녀 회원들이 끓는 물을 퍼서 수비대의 머리에 끼얹었다. 수비대가 머리를 싸쥐고 구르자, 부녀 회원들은 연신 뜨거운 물을 계속 부었다. 그들은 결국 뜨거운 물벼락을 맞아 죽었으며, 부녀 회원들은 빼앗은 조총 두세 자루를 유격대에 보냈다.
「끓는 물을 들씌우다」의 주요 모티프는 ‘부녀 회원들의 무장 탈취’이다. 부녀 회원들은 대오에서 이탈한 수비대 두 명이 오자 ‘주먹 장군’의 이야기를 떠올리며 그들의 무기를 뺏기 위해 계획한다. 부녀 회원들은 미인계를 통해 수비대원을 안심시킨 후, 끓는 물로 수비대를 죽여 무기를 빼앗는다. 곧, 「끓은 물을 들씌우다」에는 남성뿐만 아니라 한인 여성들이 스스로 주체가 되어 항일 투쟁을 하는 모습이 잘 표현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