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妓生 鳳仙아씨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항일 전설 |
|---|---|
| 주요등장인물 | 봉선이|나카무라 대장|강씨 할아버지 |
| 모티프유형 | 봉선이가 기생이 된 내력|봉선이의 정보원 활동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92년 7월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6년 4월 |
| 채록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에서 기생 봉선이가 항일 유격대에 일본군 기밀 정보를 알려준 것과 관련하여 전해지는 이야기.
용정의 일본 총 영사관 앞에 ‘미나리 요릿집’이 있었는데, 거기에는 봉선이라는 예쁜 기생이 있었다. 봉선이는 원래 아버지와 함께 육도하 북쪽 두호 동네에 살았다. 그런데 일본자위대가 그녀의 집을 빼앗자 어쩔 수 없이 왕 지주네 머슴으로 들어갔다. 왕 지주는 머슴 중 처녀를 요릿집에 팔았는데, 요릿집의 실상은 기생집이었다. 봉선이도 ‘미나리 요릿집’에 팔렸다. 봉선이가 요릿집에 팔려가자, 그녀의 아버지는 통곡하며 그날 밤에 왕 지주의 곳간에 불을 지르고 유격대에 가담했다.
기생집에 끌려온 봉선이는 눈물과 한숨으로 하루하루를 보냈다. 용정일군 수비대 나카무라 대장이 그녀의 첫 번째 손님이었다. 나카무라는 예쁜 봉선이를 보고 한 눈에 반했으나 봉선이는 담을 쌓고 틈을 주지 않았다. 나카무라가 화를 내자 요릿집 주인은 술에 몽혼약을 넣어 봉선이에게 먹였다. 봉선이가 깨어났을 때 그녀는 정조를 이미 잃은 뒤였다.
봉선이는 죽기로 마음먹고 육도하 강변으로 달려갔다. 거기에서 봉선이는 나무에 목을 매었다. 이때 한 노인이 소리치며 봉선이를 끌어내렸다. 봉선이가 정신을 차리고 보니 노인은 옆집에 살던 강씨 할아버지였다. 봉선이는 강씨 할아버지의 품에 안겨 울었다. 강씨 할아버지는 봉선이에게 의미 없이 죽지 말고 살아서 아버지를 도우라고 했다. 봉선이가 그 말에 놀라 아버지의 행방을 묻자, 강씨 할아버지는 아버지가 유격대에 가담했다고 전했다. 봉선이가 아버지를 돕겠다고 하자, 강씨 할아버지는 요릿집에서 있으면서 일본인의 중요한 정보를 빼내라고 했다.
이후 봉선이는 미나리 요릿집에서 일본인에게 웃음을 팔며 살았다. 하루는 나카무라 대장이 요릿집을 찾아 왔다. 봉선이는 자신을 망친 몽혼약을 나카무라에게 먹였다. 봉선이는 약에 취한 나카무라의 호주머니에서 수첩을 꺼냈다. 수첩에는 회령에서 용정으로 돈 20만 원을 실은 마차를 보낸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봉선이는 그 내용을 강씨 할아버지에게 전달하자, 유격대는 마차를 습격하여 그 돈을 모두 빼앗았다.
다음날은 오월 단오였다. 살림이 구차해도 조선인은 단옷날에 한복을 입고 그네를 타고 놀았다. 그러나 올해 단오는 그 분위기가 사뭇 달랐다. 나카무라 대장이 마차를 습격한 유격대를 찾고자 온 마을에 계엄령을 내렸기 때문이었다. 봉선이는 빨간 한복 치마를 입고 그네를 타러 시내에 나왔다. 강씨 할아버지의 지시대로 봉선이는 나카무라 대장에게 그네를 타게 해달라고 부탁했다. 나카무라 대장은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봉선이가 애교를 부리자 결국 허락했다.
봉선이는 붉은 치마를 입고 그네에 올랐다. 마을 사람들은 일본의 앞잡이가 된 봉선이를 보며 비웃었다. 봉선이는 속으로 눈물을 흘렸지만, 겉으로는 내색하지 않고 그네를 탔다. 그네를 타는 봉선이의 붉은 치마가 붉은 깃발이 되어 하늘에 펄럭였다. 이것을 본 유격대원들은 계획대로 무사히 마을을 빠져나갔다.
「기생 봉선아씨」의 주요 모티프는 ‘봉선이가 기생이 된 내력’, ‘봉선이의 자살 시도’, ‘강씨 할아버지의 구원’, ‘봉선이의 정보원 활동’ 등이다. 봉선이는 왕 지주의 횡포로 기생이 되며, 일본인에게 정조마저 빼앗긴다. 절망적인 현실에서 봉선이는 죽기를 결심하지만, 강씨 할아버지의 도움으로 유격대 활동을 하는 아버지의 소식을 접하게 된다.
그 이후 봉선이의 삶은 다르게 전개된다. 이전까지 어쩔 수 없이 사는 기생의 삶이었지만, 앞으로의 삶은 아버지와 유격대를 위해 헌신한다. 봉선이는 일본인에게 애교를 부리며 얻은 정보를 유격대에 전달한다. 비록 마을 사람들은 봉선이의 숨은 행동을 알지 못해 비난하지만, 그녀는 자신의 신념대로 유격대에 헌신하는 삶은 사는 것이다.
이처럼 항일 설화에는 유격대와 같이 직접적인 항쟁뿐만 아니라 「기생 봉선아씨」처럼 숨어서 항일 활동에 조력하는 여성들의 영웅적 행동도 잘 표현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