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요령성 심양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민담|형상 유래담 |
|---|---|
| 주요등장인물 | 게|원숭이 |
| 모티프유형 | 게와 원숭이의 찰떡 획득|게와 원숭이의 싸움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81년 4월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83년 |
| 채록지 | 중국 요령성 심양시 소가둔 |
요령성 심양시에서 ‘게와 원숭이의 형상’에 대한 유래와 관련하여 전해지는 설화.
조선족 설화 학자 배영진(裵永鎭)이 1981년 한인[조선족]이 모여 사는 심양시 소가둔에서 설화를 채집할 때 한 친척으로부터 김덕순이 대단한 이야기꾼이라며 소개를 받았다. 이에 배영진은 김덕순(당시 81세)을 만나 며칠을 머물며 채록을 하였다. 당시 구술된 자료 중 「게와 원숭이」는 1983년 발행된 『김덕순 고사집(金德順故事集)』(상해 문예 출판사)에 「河蟹和猴子」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1991년 민속원에서 간행한 『조선족 구비 문학 총서(朝鮮族口碑文學叢書)』(21)에 전체 내용이 영인되었다. 2005년 보고사에서 발행한 『김덕순 민담집』에도 그 내용이 번역되어 있다. 「게와 원숭이」는 『김덕순 민담집』의 제목을 따른 것이다.
옛날 옛적에 굶주린 원숭이와 민물 게가 강가에서 만났다. 원숭이와 민물 게는 둘 다 굶주렸기에 함께 먹을 것을 찾기로 했다. 그 둘은 어느 집에 도착하고 그 집안을 살펴보니 아주머니가 찰떡을 치고 있었다. 원숭이와 게는 그 찰떡을 가로챌 방법을 궁리했다. 이에 게는 잠이 든 아이를 꼬집어 깨웠고, 아주머니가 아이를 달래는 사이에 원숭이가 찰떡을 가로챘다.
찰떡을 훔친 원숭이는 그것을 혼자 먹고 싶은 욕심이 들었다. 원숭이는 내가 가로챈 것이니 혼자 먹겠다고 억지를 부렸다. 게는 배신감이 들었으나 속마음을 숨긴 채 썩은 나무꼬챙이를 주며, “이것으로 꿰어 먹어라.”라고 말했다.
원숭이는 그 말을 듣고 썩은 나무꼬챙이에 찰떡을 꽂고 한입 먹으려 하였다. 순간 나뭇가지가 부러져 찰떡이 땅에 떨어졌다. 게는 그것을 잽싸게 주워 굴로 숨었다. 화가 난 원숭이는 굴 앞에 앉아 볼일을 보았다. 그러자 게는 자신의 집게발로 원숭이 엉덩이를 꼬집었다. 이후 게가 원숭이의 엉덩이를 너무 세게 꼬집었기에 원숭이의 엉덩이는 빨갛게 되었으며 게의 발에는 원숭이의 털이 자라게 되었다.
「게와 원숭이」의 주요 모티프는 ‘게와 원숭이의 찰떡 획득’, ‘게와 원숭이의 싸움’ 등이다. 게와 원숭이가 함께 꾀를 부려 찰떡을 얻는 과정에서 지혜담의 성격이 나타난다. 또한, 원숭이와 게와의 싸움에서는 원숭이의 엉덩이와 게의 다리에 관한 유래를 설명하는 동물담 중 유래담이 드러난다. 아울러 원숭이는 욕심으로 게를 배신하고 결국 아무것도 얻지 못했다는 점에서 교훈담의 성격도 발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