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鐘소리 文學社 |
|---|---|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 성격 | 대학생들이 조직한 문예동아리 |
|---|---|
| 설립자 | 김호웅 |
| 전화 | 13843392295 |
| 홈페이지 | kangceng@hanmail.net |
| 설립 시기/일시 | 1987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7년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0년 7월 23일 |
| 최초 설립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연변대학 |
| 현 소재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시 연변대학 |
길림성(吉林省)연변대학 한인[조선족] 대학생들이 조직한 문예 동아리.
종소리 문학사는 중국 한인[조선족] 문학의 발전을 도모하고, 대학생 문학도들을 문단의 새로운 역량으로 육성하고자 설립되었다.
종소리 문학사는 1978년에 설립되었는데, 2010년 7월 23일 중앙 민족대학옹달샘문학사와 정식으로 자매 결연을 체결하였다.
종소리 문학사는 1978년 창립된 이래 36년간 민족 문화 발전에 막대한 기여했으며, 중국 한인[조선족] 문학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현재 종소리 문학사는 시·수필·소설·아동 문학 등 일련의 문학 형태에서 우수한 성과를 이뤘으며, 실내외 백일장·특강·시 낭송 대회·유적지 답사 등 여러 행사를 적극 펼쳐나가고 있다.
종소리 문학사는 옹달샘 문학사와의 다양한 교류 행사와 창작 활동을 통해 문학 동호인들을 키우고, 과외 작가를 양성하고 있다. 아울러 지역을 뛰어넘는 교류와 협력을 강화해 우수한 작품을 선정하여, 『연변 문학』·『장백산』·『도라지』·『송화강』·『청년 생활』 잡지 등 정기 간행물에도 발표하고 있다.
종소리 문학사는 김성우·김호웅·석화·김경훈·우상렬·이광일·김인덕 등 문학 인재들을 배출하였다. 또한 이은실·허국화·최미성·김호·주매화·강철영·김광일·김미란·전은주 등 새 시기 문학도들을 배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