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函 |
|---|---|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혼례 의식 |
|---|
혼인 때 신랑 측에서 신부 측으로 채단(采緞)이나 혼서지(婚書紙)를 넣어 보내는 소형의 상자.
함(函)은 소형의 사각 상자로, 뚜껑이 위쪽에 있거나 후면에 경첩을 달아 뚜껑을 여닫을 수 있게 만든 것이다. 함 안에 넣는 물건의 성격에 따라 함의 이름을 다르게 부르기도 한다. 연함(烟函), 인함(印函), 문서함, 관모함, 관복함 등과 같이 안에 담을 물건의 형태나 크기의 대소에 따라 크기와 형태가 달라지기도 한다.
그 중 혼례에서 채단인 치마·저고리감과 혼서지를 넣는 함은 혼함이라고도 부르며 한복감 한 벌 정도가 들어가는 크기로 제작한다. 소나무 등으로 만들며 경첩 등으로 함을 장식해 고급스러움을 더하기도 한다. 함 전체는 칠을 하여 마무리한다. 현재 한인[조선족]의 혼례 제도의 변화 등으로 채단과 혼서지를 함에 담아 전하는 대신 현금 등을 보내기 때문에 함은 박물관 등에 전시되어 있을 뿐이다.
현지 한인의 혼례에서 신부에게 보내는 함은 중국 문화대혁명[1966~1976년]을 거치며 민족 고유의 특성은 허용되지 않았고, 이후에도 혼인 제도가 개혁되면서 전통적인 혼속은 거의 사라졌다.
함도 신부에게 보내는 예물과 혼서지를 넣는 것이 아니라 신랑 신부가 각각 예장을 넣는 것으로 바뀌어 혼인 후 사용할 물건으로 대체되었다. 1930년대에는 베와 의복류, 현금, 낟알 등을 넣었고, 1945년 이후로는 비단, 사(紗), 보온병 등과 같이 실용적인 물품을 넣었다. 문화대혁명 이후 함에 모택동 선집을 넣기도 했다. 현재 한인[조선족] 사이에는 혼서지 등을 넣는 함은 통용되지 않고 있으며. 신랑 일행이 신부를 맞으러 신부집에 갈 때 각종 선물을 담아가는 대장함이 통용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