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릅 김치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음식물/음식물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음식
재료 두릅
계절
정의

동북3성 지역에서 주로 봄철에 두릅으로 담가 먹는 김치.

개설

중국 이주 초기 한인들은 척박한 환경에서 생활을 영위해야만 했다. 게다가 1959~1961년 중국 전역에서 발생한 대기근으로 심각한 식량부족 난을 겪기도 했다. 이렇게 식량부족 상황을 늘 겪으며 힘든 시기를 살았던 이들은 야생에서 구해 먹을 수 있는 재료는 모조리 다 채취해 먹었다. 봄철 산에서 캘 수 있는 대표적인 산나물이 도라지, 더덕, 고사리, 취, 두릅, 들미나리, 고비나물 등 정도였다. 이것을 말리거나 소금에 절여 산나물김치나 염장식품으로 만들어 보관해 두고 먹었다. 시금치, 쑥갓, 미나리처럼 재배 채소들을 많이 먹을 수 있게 된 시기는 경제적으로 형편이 좋아진 1980년대 이후로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재배 채소가 늘어나면서 이를 활용한 음식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두릅은 연변 지역의 주요 특산물의 하나로 쌉쌀한 맛과 독특한 향이 일품이다. 주로 초고추장을 곁들여 익혀서 숙회(熟鱠)의 형태로 먹거나 데쳐서 기름, 간장, 양념에 버무려 나물로 무쳐서 먹는데, 소금이나 간장에 절여 먹기도 한다. 두릅을 소금이나 장에 절인 것은 장아찌, 마늘, 생강, 고추 등의 양념에 버무리면 김치로 구분한다.

참고문헌
  • 『연변 조선족 전통음식을 담다』(한식진흥원, 2016)
  • 『중국 조선족 마을의 변화양상』(국립민속박물관, 2019)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