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石磨 |
|---|---|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 유형 | 물품·도구/물품·도구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 성격 | 농기구 |
|---|---|
| 재질 | 석재 |
| 용도 | 제분 |
| 생산|제작처 | 길림성 |
| 생산|제작처 | 요령셩 |
돌로 만든 맷돌의 한자식 표기로 곡물을 갈아서 가루로 만드는 용구.
한인들의 맷돌은 크기에 따라 사용방법이 다르다. 사람이 앉아서 돌리는 손 맷돌은 큰 함지에 맷돌을 앉히고 두 사람이 마주 앉아 한 사람은 곡물을 위짝 구멍에 떠 넣고, 한 사람은 위짝을 돌리면서 간다. 물론 우가촌 지역에서는 따로 매판이나 매함지를 쓰지 않기도 한다. 손으로 돌릴 수 없는 중간 크기의 맷돌은 위짝 가장자리에 만든 구멍 2개에 끈으로 연결한 나뭇가지를 사람이 돌려서 곡물을 간다. 위짝에 구멍 4개를 설치한 큰 맷돌은 나귀 등의 가축이 돌린다.
길림성 경기툰 지역에서는 지름이 30㎝ 정도인 손 맷돌은 대부분 각 가정에 비치되어 있다. 일부 가정에서는 이주 때 가져온 지름 60㎝ 정도인 중간 맷돌도 있다. 이들 맷돌은 녹두, 쌀, 옥수수 등을 갈 때에 주로 사용하였으나 물에 불린 콩을 갈아 비지를 만들거나 녹두 등을 갈아 빈대떡을 만드는데 쓰였다. 현재는 이러한 음식준비 역시 주로 방앗간의 정미 기계를 사용하여 옛날보다 맷돌을 사용하는 기회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위·아래 두 짝으로 구성되며, 아래짝 가운데에는 중쇠[숫쇠]를, 위짝에는 암쇠를 박아 끼워서 서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ㄱ’자 모양의 맨손(손잡이)은 위짝 구멍에 박으며 칡이나 대나무로 테를 메워 고정시키기도 한다. 위짝에는 곡식을 집어넣는 구멍이 있으며, 아래짝 위에는 곡물이 잘 갈리도록 하기 위하여 홈이 패어져 있다. 오랫동안 써서 이 홈이 메워지면 매를 다시 쪼아준다.
한인들은 옥수수를 많이 재배하였기에 맷돌로 가루를 만들어 죽이나 빵을 만드는데 많이 사용하였다. 맷돌은 그대로 보관하면 집 안의 곡물이 모두 갈아져 가난해진다고 여긴다. 그래서 맷돌을 보관할 때는 위짝을 밑으로 아래짝은 위로 올려 보관한다. 이렇게 보관하여야 맷돌이 안전하고 맷손이 부러지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