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배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주방용기
재질
용도 조리|저장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50-60년대
정의

음식을 만들 때 쓰는 주방 도구.

개설

이주 한인들은 각지에 가마를 설치하여 각종 토기 그릇을 생산하였다. 그만큼 한인들은 다양한 유형의 토기 그릇을 애용하였다. 토기 그릇 중 옹배기와 같은 질그릇은 널리 사용되었는데, 오지 그릇이 등장하면서 토기 그릇은 자취를 감추었다. 오지로 만든 옹배기 등은 현재 훈춘 양수 오지 공장에서 제작되어 동북 3성 일대 한인[조선족]들에게 널리 판매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옹배기와 같은 질그릇은 1950-60년대에 자취를 감추었다. 다만 현재에도 토기 항아리와 뚝배기 등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토기 항아리의 경우는 큰 것은 김장김치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뚝배기와 같은 국이나 탕을 넣는 용도로 쓰이고 있다.

형태

옹배기는 둥글넓적하고 아가리가 쩍 벌어진 아주 작은 질그릇이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질그릇은 과거 일반 대중의 부엌 기구로 널리 사용되었다. 질그릇은 뜨거운 음식을 담아도 표면이 뜨겁지 않고 기름기 있는 음식물이 잘 식지 않아 쓰기도 좋다. 또 그릇 자체에 열을 가하여 조리할 수 있으므로 장을 끓여 먹는 질그릇은 지금도 애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 北京大學 朝鮮 文化 硏究所,『민속사(중국 조선 민족 문화사 대계7)』, (민족 출판사, 2000)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