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비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정의

동북3성 지역 한인 사회에서 땅을 파헤치거나 이랑을 지을 때 사용하던 농구.

개설

따비는 자루에 달린 발판을 눌러 땅에 날을 박아 흙을 뒤집는 원시적인 형태의 농기구이다. ‘따비 한다’고 하면 산지를 새로 개간하는 것을 뜻하며, ‘따비밭’하면 따비로 갈만한 작은 밭을 말한다. 곧 따비밭이란 따비로 개간한 밭으로서 경사가 지고 면적이 작아 따비로만 갈이를 할 수 있는 땅을 가리킨다. 『농사직설』에는 ‘耒(향명:地寶)’, 『산림경제』에는 ‘地保’, 『해동농서』에는 ‘‘長鑱(뷔)’로 표기되어 있다.

연원 및 변천

따비는 그의 형태에 따라 외날과 쌍날로 구분 지을 수 있다. 한인들이 토지를 개척할 때 사용한 따비는 쌍날로, ‘농경 문청 동기’ 유물에서도 보이듯 그 역사가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따비는 현재 사라진 농기구이다.

형태

따비는 자루와 발판, 날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흙을 뒤집을 때는 발판을 밟아 날 부분을 땅에 삽입시킨 후 자루를 눌러 흙이 일어나면 한쪽으로 흙밥을 넘긴다. 결국 따비는 고랑과 이랑을 짓는데 사용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한인들에게 따비는 돌이나 나무뿌리가 많은 밭을 개간할 때 사용된 농기구로 고된 노동의 상징물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 『농사직설(農事直說)』
  • 『산림경제(山林經濟)』
  • 『해동농서(海東農書)』
  • 김광언, 『한국의 농기구』,(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69)
  • 김광언, 『한국 농기구고(韓國 農器具攷)』,(한국 농촌 경제 연구원, 1986)
  • 정연학, 『한중 농기구 비교 연구』(민속원, 2003)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