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야 | 생활·민속/민속 |
|---|---|
| 유형 | 놀이/놀이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어린이 놀이 |
|---|
동북3성 지역에서 두 명의 놀이자가 두 눈을 가리고 상대편을 잡는 한인 어린이들의 놀이.
두 편으로 나눈 놀이자들이 둥글게 번갈아 앉고, 각각의 편에서 한 명씩 나와 두 눈을 가리고 ‘고양이’와 ‘쥐’를 정한 다음 고양이가 쥐를 잡는 놀이이다. 까막 잡기라는 말은 눈을 감싸고 캄캄한 어둠 속에서 상대를 잡는 놀이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수건으로 두 눈을 가리고 봉사처럼 놀이를 하여 ‘소경 놀이’ 또는 ‘봉사 놀이’라 한다. 놀이자들이 앉아 있는 원 밖으로 나갈 경우 상대에게 잡힌 것이 된다. 쥐를 많이 잡는 편이 이긴다.
이 놀이는 숨바꼭질처럼 상대를 찾되 눈을 가린 어둠 속에서 찾는다는 점이 다르다. 어두운 밤에 순찰을 하던 순라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나 정확한 유래를 알 수 없다. 아주 오랜 전부터 어린이들이 손쉽게 즐겨온 놀이이다.
두 눈을 가릴 수 있는 수건 2장이 필요하다. 놀이는 장애물이 없는 넓은 마당이나 빈터, 잔디밭, 모래밭에서 가능하다. 사람이 많을수록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두 편으로 나눈 놀이자들이 둥글게 교대로 앉은 다음 각 편에서 한 사람씩 나와 ‘가위 바위 보’로 ‘고양이’와 ‘쥐’ 역할을 나누어 정한다. 고양이와 쥐는 두 눈을 수건으로 가려야 하며, 고양이는 쥐를 잡고 쥐는 잡히지 않도록 피하는 놀이이다. 쥐는 피할 때마다 손뼉을 쳐야 한다. 고양이는 쥐가 치는 손뼉 소리를 가늠하여 쥐를 잡으러 다니고, 쥐는 고양이의 발 소리를 듣고 피한다. 만약 원 밖으로 나가면 잡힌 것이 된다. 둘러앉은 놀이자들은 노래를 부르거나 자기편을 응원하기도 한다. 원 밖으로 나가거나 쥐를 잡으면 고양이와 쥐의 역할을 바꿔 놀이를 계속한다. 고양이와 쥐 역할은 각 편에서 순서를 정하여 하고, 놀이가 끝나면 어느 편이 ‘쥐’를 많이 잡았는가를 셈하여 승부를 가린다.
쥐는 귀중한 곡식을 축내고 질병을 옮기는 해로운 동물이다. 고양이가 쥐를 잡아야 하는 현실적인 실용성을 본떠 ‘고양이’와 ‘쥐’라는 관계를 설정하고 고양이가 쥐를 잡는 역할 놀이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