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건 돌리기

한자 手巾 돌리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놀이
정의

중국 동북3성 지역 한인 사회에서 사람들이 원의 형태로 둥글게 안쪽을 보고 앉은 상태에서 술래가 수건을 사람들의 등 뒤에 돌리고 다닐 때에 수건을 찾으며 노는 여자 어린이의 놀이.

개설

원형으로 둘러앉은 상태에서 수건을 돌리는 사람이 앉아 있는 사람의 등 뒤에 수건에 떨어뜨려 놓고 한 바퀴 도는 사이에 수건을 찾는 여아들의 집단 놀이이다. 수건을 찾지 못하고 ‘잡힌 것’이 된 사람은 벌칙을 받는다. 벌칙은 다른 놀이자들의 지정에 따라 노래를 부르거나 춤을 춘다.

놀이 도구 및 장소

작은 수건 한 장이 필요하다. 수건이 없을 때에는 이를 대용할 수 있는 소지품이면 무방하다. 여러 사람이 원형으로 앉을 수 있는 넓은 마당이나 잔디밭이면 놀이가 가능하다.

놀이 방법

놀이를 시작하기에 앞서 수건 돌리기를 할 어린이를 뽑는다. 수건 돌리는 어린이는 자발적으로 나서기도 하고 어린이들이 특정인을 지명하기도 한다. 놀이가 시작되면 수건을 돌리는 어린이는 수건을 가지고 원 둘레를 돌면서 앉아 있는 어린이의 등 뒤에 아무도 모르게 수건을 떨어뜨린다. 앉아 있는 어린이는 자기 뒤에 수건이 떨어뜨려져 있는가를 수시로 돌아봐야 한다.

만약 수건이 떨어져 있으면 재빨리 수건을 줍고 달려가 수건 돌리기를 하는 어린이가 자기가 앉았던 자리에 들어가 앉기 전에 손으로 잔등을 친다. 그러면 그 어린이는 ‘잡힌 것’이 되어 여러 어린이의 요구에 따라 노래를 부르거나 춤을 춰야 한다. 그러나 뒤따라 잡기 전에 수건을 돌리던 어린이가 자기 자리에 않으면 수건을 집어든 어린이가 수건 돌리기를 계속한다.

수건을 떨어뜨리고 한 바퀴를 돌아 수건이 그대로 놓여 있는 것을 모르고 있는 어린이의 등을 손으로 치면 ‘잡힌 것’이 되어 노래나 춤을 춰야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놀이를 계속한다. 놀이를 할 때 좌우 옆 사람의 등 뒤에 수건이 떨어뜨려져 있는 것을 알아도 알려주어서는 안 된다.

참고문헌
  • 홍세우 편저, 『조선족 민속』(연변인민출판사, 1982)
  • 북경 대학 조선 문화 연구소, 『중국 조선 민족 문화사 대계 7. 민속사』(연변대학, 2000)
  • 심영숙, 『조선 민속 지식』(요령민족출판사, 2012)
  • 한광운, 『조선족 민속 놀이』(연변인민출판사, 2013)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