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야 | 생활·민속/민속 |
|---|---|
| 유형 | 놀이/놀이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놀이 |
|---|---|
| 노는시기 | 정월 대보름날 밤 |
중국 동북3성 지역의 한인 여성들이 정월 대보름날 밤에 허리를 굽힌 후 서로 붙어 서서 다리 형태의 ‘놋다리’를 만들어 노는 집단 놀이.
놋다리 밟기는 앞사람의 허리를 껴안고 놋다리를 만들어 그 위를 한 사람이 걸어가며 여러 가지 노래를 부르며 노는 놀이이다. 노래는 주로 놋다리 놀이의 모습을 묘사하거나 찾아온 손님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고, 어디서 왔는가 등을 주제로 한다. 이런 노래의 내용으로 볼 때, 놋다리 밟기가 고대의 내방자 환대 신앙(來訪者歡待信仰)에 바탕한 농경 예축 의례(農耕豫祝儀禮)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놋다리 밟기는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처음 그 기록이 보인다. “안동 풍속에 마을 여자들이 늙고 약함을 가리지 않고 떼를 지어 밤에 성 밖으로 나가 물고기를 꿴 형상으로 좌우로 길게 늘어 엎드린다. 한 어린 여자가 그 위를 걸어가는데 좌우에서 붙들어 준다.”고 적혀 있다. 이와 같은 안동의 민속놀이가 동북 3성에 전승되어 나름의 놀이로 행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특별한 놀이 도구는 없으며 한복을 곱게 차려 입은 여성들이 넓은 마당에 모여서 행한다.
달빛이 온 천지를 은빛으로 물들이는 대보름이나 작은 보름[정월 14일] 밤에 명절 옷을 곱게 차려입은 수십 명의 부녀자들이 한 곳에 모여 일렬 종대로 서서 허리를 굽히고 앞 사람의 허리를 두 팔로 껴안아 긴 ‘다리’를 만든다. 이를 놋다리 또는 동교(銅橋)라 한다. 놋다리를 만든 다음 놋다리 위에 어린 처녀 한 명을 올려 걸어가게 하고, 노래를 부르면서 밤새도록 즐긴다. 이 놀이는 지방에 따라 놀이 방법이 약간씩 다르다. 어떤 곳에서는 놋다리를 만든 다음 맨 끝에 있는 사람부터 한 명씩 순서대로 놋다리를 걷게 한다. 놋다리를 다 건너 맨 앞에 이르면 놋다리를 내려와 허리를 굽히고 놋다리를 만든다. 이렇게 놋다리 건너기를 차례로 계속한다. 그리고 일부 지방에서는 놀이에 참가한 사람들이 두 편으로 나뉘어 위와 같은 방법으로 어느 편이 더 빨리 다리를 건너는가를 겨루기도 한다. 이 놀이에서 건너는 사람의 물음에 다리를 놓은 사람들이 대답하는 것은 모두 같다.
안동에서는 정월 한 달을 일을 하지 않고 쉬는 달이란 뜻으로 ‘노달기’라 하는데, 이는 ‘노는 달의 밟기 놀이’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또 “놋다리 밟기를 놀아야 풍년 든다”는 안동의 속언이 있는데, 정월 대보름날 밤 둥근 달 밑에서 생산성의 상징인 여성들이 모여 논다는 데서 비롯된 말이다. 놋다리 밟기가 농경에 대한 풍년 예축(豊年豫祝)의 신년제 놀이에서 비롯되었음을 시사하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