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자 놀이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놀이
노는시기 겨울철 야간
정의

동북3성 지역 한인 아이들이 등잔불이나 호롱불 등 불빛을 이용하여 그림자를 만들어 즐기는 놀이.

개설

불빛이 손을 비추면 손 모양의 그림자가 생기는데, 이 때 손 모양을 다양하게 하면 그림자의 모양도 달라진다. 한 손이나 양손을 써서 개, 여우와 같은 각종 동물이나 사물의 그림자를 만들어 즐긴다. 손가락을 자유자재로 놀리는 재주가 있으면 더욱 다양한 그림자를 만들 수 있다. 전기를 이용한 전등이 일반화되면서 놀이가 점차 사라졌다. 주로 밤이 긴 겨울철에 많이 즐겼다.

연원

그림자를 이용한 놀이는 어린이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밤의 무료함을 없앨 수 있는 놀이로 제격이다. 등잔불이나 호롱불을 쓰던 시절, 방안은 불빛에 의한 그림자가 벽에 선명하게 만들어진다. 이런 상황을 활용하여 이 놀이를 즐겼다. 그림자를 활용하여 만든 극 양식이 ‘만석중 놀이’인데, 이는 전문적인 예능인이 그림자 놀이를 극대화하여 공연한 것으로 일종의 그림자 놀이이다.

놀이 도구 및 장소

놀이 도구는 불을 밝힐 수 있는 등잔이나 호롱이 있으면 가능하다. 주로 방안에서 한다.

놀이 방법

벽 가까이에 손을 들고 여러 가지 모양으로 그림자를 만든다. 한 손으로 단순한 그림자를 만들기도 하고 두 손을 이용하여 다양한 그림자를 만들기도 한다. 손가락을 어떻게 펴고 접는가, 두 손을 어떻게 잡는가에 따라 그림자의 모양이 달라진다. 귀를 세운 개, 입을 벌린 여우와 같은 동물이나 주전자와 같은 사물을 만들 수 있다. 때로는 그림자를 만들고 그 그림자가 무엇인가를 맞히는 놀이를 하기도 하며, 두 사람이 각자 그림자를 만들어 재주를 겨루기도 한다.

참고문헌
  • 『한국 민속 종합 조사 보고서 경기편』(문화재 관리국, 1978)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