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야 | 생활·민속/생활 |
|---|---|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개념용어 | 천으로 만들어 양말처럼 발에 신는 물건 |
|---|
동북3성 지역에서 천으로 만들어 양말처럼 발에 신는 물건.
버선은 한민족이 신었던 일종의 양말이다. 보통 흰 천으로 만들어 신었는데 솜을 두고 지은 ‘솜버선’과 솜을 두지 않고 겹으로 지은 ‘겹버선’이 있었다. 버선의 모양은 전체적으로 발 모양과 비슷하게 생겼는데 발이 들어가는 부분에 비하여 발목 부분이 좁게 되어있고 신으면 종아리 아래까지 올라온다.
처음에는 발 모양으로 하여 편하게 신었으나 조선 왕조 시기 중기에 이르러서는 그 크기가 실제 발 크기보다 작고 솜을 통통하게 넣어 아름다움을 강조하였다. 즉 버선을 만들 때에 단순히 발 모양을 따르기만 한 것이 아니라 미적인 가치도 추구하였다. ‘코’라고 불리는 앞 쪽 끝을 뾰족하게 위로 들어 올려 맵시 있게 보이게 하고, 발바닥 부분은 발의 선을 살려 가운데는 오목 들어가고 뒤꿈치는 부드러운 둥근 선을 이루게 만들어 전체가 유연한 곡선으로 이어지게 했다.
버선은 예의를 중시하는 한민족의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민족은 전통적으로 남녀 모두 남에게 맨발을 보이지 않는 것을 예의로 삼았다. 그래서 더운 여름에도 버선을 신었으며 될 수 있으면 맵시 있게 보이려고 솜을 넣어 만든 버선을 신었다. 근대에 이르러 양복을 입고 그에 따라 양말을 신으면서 버선은 점차 자취를 감추기 시작하였는데, 오늘날에는 전통 혼례와 같은 의식 때만 신는 양말로 되었다.
한인의 전통적인 여자용 버선은 그 형태가 남자용과 기본적으로 같은데 작고 예쁜 것이 특징이다. 과거 여자들은 봉건적 유교 교리의 영향으로 하여 발이 큰 것을 부끄럽게 여기고 버선을 작게 만들어 억지로 넣어 신는 풍습을 갖고 있었다. 그리하여 발가락이 오그라지고 뒤꿈치가 달걀 모양처럼 되었다. 그런 원인으로 옛날에는 버선을 신은 발모양이 고운 여자를 발뒤꿈치가 '달걀 같다'고 칭찬하였다. 여자들은 이런 칭찬을 받기 위하여 버선을 작고 예쁘게 만들어 억지로 발을 집어넣었다. 이리하여 민간에 '오이씨 같은 버선발'이라는 말이 널리 전해졌다.
지금은 버선을 신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하지만 결혼식 때 아직도 버선을 신는 여자들이 있으며, 버선 재료는 옛날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흰색 천으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