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모

한자 貝母
분야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유형 특산물/특산물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식물
재질
용도 약용
정의

동북 3성과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에서 식생하는 백합과에 속한 여러 해 살이 풀.

개설

패모의 원산지는 사천(四川)이며, 운남(雲南), 섬서진(陕西鎭) 파산구, 감숙(甘肅), 절강(浙江), 하북(河北), 안휘(安徽) 등지에도 분포한다.

연원 및 변천

중국 동북이나 한반도에 식생 하는 야생 패모는 모두 약재로 들여와 재배하다가 당지에 귀화하여 야생 식물로 변하였다. 북한에서는 조선 패모라 불린다. 사천성에서는 천패모, 절강성에서 절패모, 안휘성에서는 환패모, 동북에서는 평패모라 부른다. 천패모가 패모의 왕으로 불린다.

특징

패모는 맛이 쓰고 성질이 차서 폐와 심장에 작용한다. 폐에 작용하여 열을 내리고 담을 삭여 폐를 보하여 기침을 멈추게 한다. 따라서 가래 기침, 마른 기침,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 등에 효과가 있다. 청열, 화담, 진해, 산결, 해독의 효능 외에도 풍열에 의한 해수, 폐옹으로 인한 후비, 나력, 창양 종독을 치료한다. 『동의보감』에는 “폐가 열(熱)하고 조(燥)하여 생긴 담과 기침에 유효하다.”라고 적혀있다.

현황

길림성 정우현의 평패모 생산량은 2007년도에 500톤에 달한 적도 있지만 가격이 낮아 재배농이 급격히 줄어 현재는 100톤 정도로 생산량이 급감하였다. 가격은 크기에 따라 1㎏당 44~100위안으로 원래의 가격의 2~3배로 올랐다. 천패모는 2,500위안 안팎이다.

참고문헌
  • 『中藥材天地罔』(2014. 12. 7.)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