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木耳 버섯 |
|---|---|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 |
| 유형 | 특산물/특산물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식물|특산품 |
|---|---|
| 재질 | 재배업 |
| 용도 | 식용|약용 |
동북 3성에 있는 참나무, 백양나무, 느티나무 등 120여 종의 활엽수에서 생장하는 버섯.
목이버섯은 검정귀 버섯, 목균(木菌), 광목이(光木耳), 흑채(黑菜)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며 주로 중국과 일본 등에서 생산된다. 중국 대부분의 산지는 중국의 동북 지구이며 내몽고, 호북, 광동, 광서, 귀주, 절강 등지에서도 부분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목이버섯은 야생산과 재배산이 있는데 야생산은 극히 적으며 재배산이 비교적 많이 생산된다. 목이버섯은 여러 가지 모양으로, 귀 모양, 잎 모양과 변두리가 파도형으로 된 모양도 있다. 일반적으로 폭이 3㎝ 내지 10㎝가 되고 두께가 2㎜ 가량 되며 색깔이 검은 색을 띤다. 그리고 목이버섯은 탄성이 있고 약간 투명하며 건조시 많이 위축되면서 부피가 많이 작아지면서 딴딴하게 된다.
목이버섯은 맛이 신선하고 비타민 D 함량과 칼슘이 풍부하고 식이 섬유와 철분까지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흰머리가 검은 머리로 변한다는 속설까지 있다. 또한 비만을 예방하고 혈액에 영양을 공급하는 효능과 지혈 작용 정신 안정에도 효과가 있으며 장을 깨끗하게 청결해주기도 한다. 그 외 변비, 피부의 독소 배출도 돕고 기미나 주근깨를 제거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말린 목이버섯에는 생으로 섭취할 때보다 무려 10배나 되는 비타민 D 함유량을 보이며 칼슘 함량 역시 12배 가까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반인들이 모두 먹을 수 있으며 특히 심뇌 혈관 질병이나 결석증이 있는 환자들이 식용으로 먹으며 좋으며 광산 노동자, 야금 노동자, 방직 노동자 및 이발사 등 직종의 사람들이 먹으면 적합하다.
간단히 물에 담구었다가 퍼지면 그냥 그대로 먹을 수도 있으나 물에 너무 오랫동안 담그지 말아야 한다. 그러면 목이버섯에 함유돼있던 비타민 함량들이 유실될 수 있다. 그리고 돼지 고기나 기타 재료와 섞어서 요리를 해먹을 수 있다. 단, 물에 깨끗이 씻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시장에서 유통되는 목이버섯은 농약 성분이 있을 수 있기에 잔류돼 있던 농약 성분을 제거해야 한다.
연변을 포함한 동북 지구는 중국에서 가장 큰 목이버섯 생산지이다. 연변은 8개 시현에 모두 목이버섯 생산 기지가 있으며 농촌에서의 기둥 산업으로 발돋음하여 농민들 수입의 주요원이 되고 있다.
매년 4톤 전후의 야생 목이버섯의 채취로 시작된 연변의 목이버섯 산업은 1971년 사상 처음으로 인공 재배에 성공하면서 40여 년의 역사를 거쳐 오늘의 규모로 보급이 잘 되었다. 또한 중국 식용균 협회로부터 왕청현은 “전국 10대 식용균 주요 생산 거점현”으로, 돈화시 황니허진과 왕청현 천교령진은 “전국 목이버섯 지향(全国木耳之鄕)”으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2012년 연변의 목이버섯 생산액은 처음으로 30억원 선을 돌파하였다. 현재 연변의 목이버섯 재배업은 기타 관련 산업도 견인, 목이버섯 관련 가공은 초창기 선별, 압축 등의 단순작에서 목이버섯 스택, 목이버섯 잼, 목이버섯 간장 등 2가공으로 늘어났다. 2014년 연변 주 목이버섯 생산량은 12억 주머니를 초과, 이중 돈화시에서 생산되는 목이버섯은 5억 주머니에 달해 전주의 42%를 차지했고 왕청현이 4.5억 주머니에 달해 37.5%를 차지했으며 기타 현시가 2.5억 주머니에 달해 21%를 차지했다.
한편 목이버섯을 주제로 한 축제, 세미나 등도 자주 펼쳐지는 바, 흑룡강성 동녕시에서는 2005년부터 해마다 중국 목단강 목이버섯 축제를 펼치고 있다. 중국 동북에서의 목이버섯 산업은 향후 상당 기간 계속 발전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