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얼빈 동역

한자 哈爾濱 東驛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흑룡강성 하얼빈시 도외구 화차도가 1호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건물
면적 7,500㎡
전화 (0451)86464162
준공 시기/일시 1934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32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33년 3월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2년 말
최초 설립지 흑룡강성 하얼빈시 도외구 화수가 1호
주소 변경 이력 화수가와 남과가 교차 지점
현 소재지 흑룡강성 하얼빈시 도외구 화수가 1호
정의

흑룡강성 하얼빈시 도외구(道外區) 화차두가도(火車斗街道)에 위치한 하얼빈 동쪽 역.

개설

1934년 납빈철로(拉濱鐵路)를 건설할 때 만든 역으로 하얼빈 철로국(哈爾濱鐵路局)에서 관리한다.

변천

하얼빈 동역은 1931년 9·18만주 사변 후, 일제가 흑룡강 지역을 점령하기 위해 1932년 철로 건설을 시작하면서 비롯되었다. 1932년 일본은 ‘만주국’을 수립하면서 흑룡강의 철로는 만주국 관할 하에 들어갔다. 1933년 3월, 봉천[현 심양]에 설립한 ‘철로총국’이 남만주 철도 주식 회사를 총괄하게 되었다. 1934년 7월,납빈이 삼과수역과 호해(呼海)철로가 연결되면서 삼과수역(三果樹驛)은 1934년 정식 철도역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삼과수역으로 불린 것은 이 지역이 하얼빈시 동쪽, 송화강의 남쪽에 위치하는데 예전에 잡초로 우거진 연못이 있었고 세 그루의 큰 나무가 있었기 때문이다.

일제 패망 후 1946년 4월, 삼과수역은 북만 철로 관리국과 수화(綬化) 철로 분국으로 분할 귀속되었다. 그해 9월 또다시 동북 철로 분국과 납빈 분국으로, 12월에는 동북 철로 총국과 하얼빈 철로 관리국으로 분할 귀속되었다. 1950년 4월에 새로 설립된 하얼빈 철로분국에 귀속되었다. 그해 5월에는 치치하얼(齊齊哈爾) 철로국과 수화 철로 분국, 1952년 말에는 또다시 하얼빈 철로 분국으로 분할 귀속되었다.

현황

하얼빈 동역에서 북경역 까지 북경-하얼빈선 상행선 방향으로 1,282㎞, 만주리역 까지 빈주선(濱洲線) 하행 방향으로 990㎞, 오상역(五常驛)까지 납빈선 하행방향으로 124㎞ 떨어져 있다. 북안(北安)·목단강(牡丹江)·가목사(佳木斯)·만주리(滿洲里)·가격달기(加格達奇)·막하현(漠河縣)·길림등지로 가는 기차가 운영되고 있다.

2013년 9월 26일 10시 30분, 하얼빈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되었다. 이로써 하얼빈 동역은 지하철과 철도 객운(客運)을 두루 갖춘 역으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하얼빈 동역은 2014년 기준, 114개의 철로를 이용하고 있으며 30개 정도의 역과 선로를 연결하고 있다. 그중에 북방으로 향하는 대부분의 기차가 하얼빈 동역에서 출발한다.

하얼빈 동역은 1987년 보수 공사를 하여 대기실과 매표소 등의 시설을 5,000㎢ 정도 확장했으며 2002년 역과 플랫폼, 대기실 등을 재정비하였다.

참고문헌
  • 百度百科(www.baike.baidu.com)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