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도백하

한자 五道白河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시대 근대/근대|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하천
전구간 백두산
정의

백두산의 동쪽 원지 부근에서 발원하여 북쪽 방향으로 흐르다가 이도강과 합류하여 송화강으로 흘러가는 하천.

개설

오도백하는 1712년 조선과 중국 간 영토 분쟁에서 조선의 국경선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당시 조선과 중국 간에 백두산정계비를 설치하고 ‘동위토문(東爲土門), 서위압록(西爲鴨綠)’이라고 명기하여 양국 간의 경계를 정하였다.

이후 1869, 1870년 대흉년으로 조선민의 대규모 월경(두만강을 넘어 간도지역으로 이주)이 일어나자 양국 간 국경이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견된 조선의 감계사 이중하는 1885, 1887년 두 차례에 걸쳐 감계 회담을 가졌으나 토문강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 청나라와의 사이에 영토 분쟁이 발생했으며, 간도 및 녹둔도의 영유권 분쟁의 원인이 되었다. 이중하는 토문강을 현재의 오도백하로 간주하였던 것이다.

명칭 유래

백두산 서쪽에서부터 두도백하·이도백하·삼도백하·사도백하 순서로 이어지는 하천 가운데 다섯 번째 하천이라서 오도백하라 불린다.

자연 환경

백두산 동쪽으로 만주족의 조상으로 알려진 포고리옹순의 설화가 전해 내려오는 신성한 호수 원지(圓池)가 있다. 원지는 화산성 호수이며 해발 고도는 1,270m이다. 주변은 습지대로 두만강 발원지와 함께 오도백하의 발원지가 있다. 두만강은 발원하여 동쪽으로 흐르지만, 오도백하는 북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두 하천의 발원은 다르다.

참고문헌
  • 문상명, 「한국 고지도에 표현된 백두산 북동류 하천」(문화 역사 지리 학회 25(2), 2013)
  • 바이두(百度百科)(http://www.baidu.com)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