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송령

한자 老松嶺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흑룡강성 목단강시 영안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고개
높이 해발 고도 500~800m
전구간 흑룡강성 목단강시 영안시
정의

흑룡강성(黑龍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영안시(寧安市) 남부의 노송령 산맥에 속하는 고개.

개설

1491년(성종 22) 10월에 조선군 2만 여 명은 두만강을 건너 니마차올적합(尼麻車兀狄哈)의 근거지인 현재의 동경성으로 진군하였다. 이때 조선군이 이용한 교통로가 노송령이었다.

개항기 두만강을 건너 만주 지역으로 이주했던 조선인들은 노송령을 넘어 흑룡강성에 닿을 수 있었다. 1932년 한중 연합군은 노송령을 넘어 요령성(遼寧省) 무순시(撫順市) 인근에서 치러진 일본군과의 대전자령 대첩(大甸子嶺大捷)에서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명칭 유래

노송령의 이칭은 마륵호리와집(瑪勒瑚里窝集)인데, 이는 만주어로 ‘머나먼 삼림의 여정’이라는 의미이다.

자연환경

노송령은 해발 고도 500~800m이며, 서남에서 동북 방향으로 뻗은 고개이다. 목단강 유역과 두만강 유역의 분수령이다. 노송령의 북쪽은 흑룡강성이고 남쪽은 길림성(吉林省)이다. 식생과 삼림이 다양한데, 백양 나무와 떡갈 나무가 주로 서식한다.

현황

노송령두만강을 건너 북쪽의 흑룡강성으로, 그리고 서쪽의 요령성으로 가기 위한 길목이다. 현재에도 두만강도문 철도가 노송령을 통과하며, 노송령 터널이 있는 교통의 요지이다. 흑룡강성 목단강시 영안시에 노송령역이 있다.

참고문헌
  • 박정민, 「조선과 諸種兀狄哈의 관계 검토」(『군사연구』139, 2015)
  • 장세윤, 「한국 독립군의 항일 무장 투쟁 연구」(『한국 독립운동사 연구』3, 독립 기념관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소, 1989)
  • 百度百科(http://baike.baidu.com/view/1867984.htm?fr=aladdin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대전자령 전투」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5262&cid=46623&categoryId=46623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