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만희

한자 柳萬熙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반일아동단 단원|동북 항일 연군 제1군 제3사 정치부주임
출생 시기/일시 1917년
활동 시기/일시 1931년
활동 시기/일시 1933년
활동 시기/일시 1935년~ 1936년
활동 시기/일시 1938년
몰년 시기/일시 1940년 3월 24일
출생지 경상북도 안동군
거주|이주지 길림성 반석현 유하현 · 요령성 청원현
활동지 길림성 반석현
활동지 길림성 반석현
활동지 길림성 반석현
정의

일제 강점기 중국에서 활동한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

개설

만주사변이 일어난 이후 동북 인민 혁명군에서 활동하였다.

가계

유만희는 1917년 경상북도 안동군(安東郡) 반천면(半川面) 출생이다.

활동 사항

유만희의 원명(原名)은 유영준(柳永俊)이다. 유만희는 1925년 중국으로 간 이후 길림성(吉林省)반석현(磐石縣)·길림성 유하현(柳河縣) 삼원포(三源浦) 곽가점(郭家店)·요령성(遼寧省) 청원현(淸原縣) 남산성(南山城) 등지에서 부모와 함께 살았다.

1931년 만주사변이 일어나자 유만희는 반일 아동단 단원이 되었고, 1933년 중국공산주의 청년단 단원이 되어 동북 인민 혁명군 제1사 대원으로 입대하여 활동하던 중 1934년 모친과 동생 2명이 일본군에게 피살당하는 아픔을 겪었다.

유만희는 1935년부터 1936년까지 동북 인민 혁명군 제3단 청년과장, 동북 항일 연군 제1군 제3사 정치부주임 등을 맡아 활동하였다. 1938년에는 고가점(高家店)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이다 생포되었으나 탈출하였다. 같은 해 10월 몽강(濛江)의 나이굉(那爾轟) 전투와 화전(樺甸)의 유수하(柳樹河) 전투에 참전하여 일본군 토벌작전에 항거하였다. 1940년 3월 24일 유만희는 임강(臨江) 곰골 밀영(密營)에서 변절한 같은 대원에 의해 살해당하였다.

참고문헌
  • 한준광, 『중국조선족인물전』(연변인민출판사, 1990)
  • 김철수·강룡범·김철환, 『중국 조선족 력사 상식』(연변인민출판사, 1998)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