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국정

한자 林國楨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철혈 광복단원|북로군정서 특파원|간도 청년단원|15만원 탈취 사건
출생 시기/일시 1894년 3월 25일
활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20년
활동 시기/일시 1920년
몰년 시기/일시 1921년 8월 25일
추모 시기/일시 1963년
관련 사건 시기/일시 1920년
출생지 함경남도 함흠
거주|이주지 간도
활동지 간도
활동지 길림성 연길현
활동지 화룡현 동양리
정의

일제 강점기 함경도와 만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임국정은 철혈 광복단원으로 군자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조선 은행 회령지점의 송금탈취를 실행하였다.

가계

임국정은 함경남도 함흥(咸興) 출신이다.

활동 사항

임국정은 3.1 운동 이후 간도로 망명하여 윤준희(尹俊熙)·한상호(韓相浩)·최봉설(崔鳳卨) 등과 함께 철혈 광복단(鐵血光復團)을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임국정은 1920년 북로 군정서(北路軍政署) 특파원이 되어 동지들과 함께 간도 와룡동(臥龍洞)김하석(金河錫)의 집에서 군자금 모집 방책을 상의하였다. 그 자리에서 김하석이 조선 은행 회령 지점(會寧支店)에서 같은 은행 용정(龍井) 출장소로 자주 송금을 하고 있으니 그 날짜와 시간을 탐문하여 빼앗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내놓았고, 이에 동조하였다.

이후 계획을 실행에 옮겨 1920년 1월 4일 윤준희·한상호·최봉설·김준(金俊)·박웅세(朴雄世)와 함께 화룡현 동양리(和龍縣東陽里)에서 일경의 호위 하에 송금되는 현금을 습격하여 일경 2명을 사살하고 현금 15만원을 탈취하였다. 같은 달 9일 탈취한 현금을 가지고 블라디보스토크(海蔘威)신한촌(新韓村)으로 들어가서 체코슬로바키아제 무기를 구입 할 계획이었다.

한편 임국정은 서성권(徐成權)을 회장으로 하는 간도 청년단의 운동부장으로서 강백규(姜白奎)·이광(李光) 등과 함께 활동하기도 하였다.

임국정은 1920년 12월 일본 경찰의 밀정인 엄인섭(嚴仁燮)의 밀고로 윤준희·한상호 등과 함께 체포되어 경성 복심 법원에서 사형이 확정되었으며, 1921년 8월 25일 서대무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3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송상도, 『기려수필(騎驢隨筆)』(국사편찬위원회, 1955)
  • 김승학,『한국독립사』하 (독립문화사, 1965)
  • 『독립운동사』7 (국가보훈처, 1974)
  • 국가보훈처,『독립운동사자료집』11 (국가보훈처, 1978)
  • 김정명편, 『명치백년사총서』2, 3 (原書房, 1980)
  •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4 (국가보훈처, 1987)
  • 박청산, 『내고향연변』(연변인민출판사, 2004)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