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동희

한자 崔東曦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천도교 계열의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천도교 의정회 혁신파|고려 혁명 위원회 부위원장|고려 혁명당 중앙위원
출생 시기/일시 1890년 1월 4일
활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20년 8월
활동 시기/일시 1922년 7월
활동 시기/일시 1926년 4월 5일
몰년 시기/일시 1927년 1월 26일
출생지 서울 종로(鍾路)
거주|이주지 중국
학교|수학지 일본동경
학교|수학지 일본동경
활동지 경성
활동지 대구
활동지 경성
활동지 만주 길림
정의

일제 강점기 국내에서 활동한 천도교계 종교인이자 독립운동가.

개설

최동희천도교의 독립운동 단체인 고려 혁명 위원회를 조직하여 부위원장 겸 외교부장에 선임되었으며, 연해주로 건너가 계속 독립 투쟁을 전개하였다.

가계

서울 종로(鍾路) 출신으로 천도교 제2대 교주인 해월(海月)최시형(崔時亨)의 아들이다.

활동 사항

최동희의 호는 소수(素水)이며 1904년 천도교에서 파견한 유학생단의 일원으로 일본에 가서 세이쇼쿠(正則) 영어학교 및 와세다 대학의 고등예과 정경학부에서 공부를 하고 1914년 귀국하였다.

이후 최동희천도교 내에서 시천교와의 통합 운동을 벌이지만 교단 내부의 반발을 초래하여 1916년 새로운 사업을 모색하기 위해 중국으로 망명길에 오른다.

1918년 북경의 신채호, 만주의 유동열, 김좌진, 황상규 등과의 만남을 통하여 무장 투쟁 노선에 눈을 뜨게 되어 1919년 이채우(李采雨)·김영순(金永淳) 등과 함께 군자금 모집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천도교 의정회(議正會) 혁신파(革新派)에 소속되었다가 중국상해로 이동하여 활동하였다.

1920년 8월에는 대구의 부호인 윤홍열, 최완 등과 만나 민족혁명 방침에 대해 논의하다가 일제 경찰에 검거되었다. 이른바 ‘최동희 음모 사건’라 불리는 사건이였다.

1922년 7월에는 천도교 중심의 고려 혁명 위원회(高麗革命委員會)를 조직하여 부위원장 겸 외교부장으로서 이종훈(李鍾勳)·홍병기(洪秉箕)·송헌(宋憲) 등과 함께 활동하다가 김광희(金光熙)·강도희(姜道熙) 등과 함께 연해주(沿海州)로 건너갔다.

1926년 4월 5일에는 길림(吉林)에서 양기탁(梁起鐸)·현정경(玄正卿)·오동진(吳東振)·곽종대(郭鍾大) 등과 천도교 혁신파인 김봉국(金鳳國)·이동구(李東求)·송헌(宋憲) 그리고 노령에서 온 최동희를 비롯하여 이규풍(李奎豊)·주진수(朱陳秀) 등과 혁명 원로들이 '이데올로기'있는 독립 투쟁을 결의하고 고려 혁명당(高麗革命黨)을 조직하게 되자 최동희는 중앙위원에 선임되어 활약하였다.

최동희는 1927년 1월 26일 지병이 악화되어 중국상해(上海) 적십자 병원에서 치료를 받다가 영면하였다.

저술 및 작품

『辛酉年 日記』

상훈과 추모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1968년 대통령표장, 1977년에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辛酉年 日記』(최동희, 1921)
  • 『기려수필(騎驢隨筆)』(국사편찬위원회, 1955)
  • 『한국독립운동사』3 (국사편찬위원회, 1965)
  • 김승학,『한국 독립사』하 (독립문화사, 1965)
  • 김정명,『명치백년사총서』1, 2 (原書房, 1980)
  •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4 (국가보훈처, 1987)
  • 최정간, 『해월 최시형가의 사람들』(웅진출판주식회사, 1994)
  • 중국조선민족발자취총서편집위원회, 『중국조선민족발자취총서(2)』(교보문고, 1997)
  • 최정간, 「비운의 혁명가로 살다 간 동학 교주의 아들」(『사회평론』, 1992)
  • 이준식, 「최동희의 민족혁명운동과 코민테른」 (『역사와 현실』32권, 1999) 『동아일보』(1927. 2. 5)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