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승준

한자 邊承俊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만주에서의 항일투쟁
출생 시기/일시 1892년
활동 시기/일시 1920년 부터
몰년 시기/일시 1923년
출생지 평안북도 태천(泰川)
거주|이주지 만주
활동지 만주
정의

일제 강점기 만주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3·1 운동 이후 만주로 망명하여 항일 독립운동 활동을 전개하였다.

활동 사항

3·1 운동 이후 만주로 망명하여 항일 독립운동을 전개한 인물이다. 평안북도 태천(泰川) 사람으로 만주로 망명한 이후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평안북도 강계(江界) 경찰서에 구류되었다. 석방된 이후 독립운동 활동을 하기 위하여 다시 만주로 망명 하였다가 중국 관헌에게 체포되어 1923년 일본 경찰에 인도되면서 고영신(高永信), 김기하(金起河), 황영내(黃永迺), 안봉선(安鳳善), 한권웅(韓權雄), 이정국(李廷國), 박기봉(朴基奉), 김용택(金龍澤), 최경경(崔敬京), 김용삼(金用三), 김진성(金振聲), 이광하(李光河), 김천봉(金天鳳), 이여율(李如律), 김심현(金甚鉉), 홍성옥(洪成玉), 백일용(白一龍), 배상대(斐相大)등과 함께 희생되어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정부에서는 1995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12(국가보훈처, 1996)
  • 중국 조선 민족 발자취 총서 편집 위원회, 『중국 조선 민족 발자취 총서(2)』교보문고, 1997
  • 『독립신문』(1923. 3. 7.)
  • 『동아일보』(1927. 5. 14.)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