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환

한자 金昌煥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대한제국 육군 부위|신흥무관학교 훈련감|대한 독립 군단 대대장|한국독립군 총사령 대리
출생 시기/일시 1872년
활동 시기/일시 1899년
활동 시기/일시 1907년
활동 시기/일시 1910년 4월
활동 시기/일시 1911년
활동 시기/일시 1912년 ~
활동 시기/일시 1920년 12월
활동 시기/일시 1922년 2월
활동 시기/일시 1923년
활동 시기/일시 1925년
활동 시기/일시 1930년
활동 시기/일시 1932년 3월
활동 시기/일시 1935년
활동 시기/일시 1937년
몰년 시기/일시 1937년
추모 시기/일시 1963년
출생지 경기도 광주
거주|이주지 유하현 삼원보 추가촌
활동지 한성
활동지 유하현 삼원보
활동지 경성
활동지 유하현 고산자가
활동지 흑룡강성 밀산부
활동지 봉천성 환인현
활동지 봉천성 환인현
활동지 길림성 유하현
활동지 연변 위하현
활동지 흑룡강성쌍성보
활동지 남경(난징)
정의

일제 강점기 만주 일대에서 활동한 민족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

개설

김창환은 경기도 광주(廣州) 출신으로서 아버지는 김계현(金啓鉉)이다. 별명은 석주(錫柱), 호는 추당(秋堂)이다.

활동 사항

김창환은 어려서부터 한문을 배웠다. 1899년 대한제국의 육군에 입대하였다.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1907년 신민회(新民會)에 가입했다. 여기에서 각 지방 의병운동의 연락 책임을 담당했다.

김창환은 1909년 12월 배동현(裵東鉉), 이승규(李昇圭), 오상근(吳祥根) 등과 일진회를 성토하는 글을 발표, 국민의 각성을 촉구했다. 이후 독립운동을 위한 해외 기지 건설을 위해 만주로 가서 봉천성(奉天省) 유하현(柳河縣) 삼원보(三源堡) 추가촌(鄒家村)에 정착하여 독립운동 기지 건설에 전념했다. 김창환은 1910년 4월 경학사(耕學社)를 조직했고, 신흥 강습소(新興講習所)를 설치했다.

김창환은 1911년 국내에 잠입해서 활동하던 중,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출옥 이후 배재학교 등에서 체육 교육을 담당하면서 독립 사상을 고취시켰다. 이후 다시 만주로 망명했다. 흉년으로 인해 동포들이 흩어져서 폐교 직전인 된 신흥학교를 지켰다. 신흥학교를 이시영을 중심으로 해서 신흥 무관 학교(新興武官學校)로 확대, 개편했다. 김창환은 여기에서 훈련감(訓練監)을 맡아 독립운동가를 양성했다.

김창환은 1920년 12월 대한 독립 군단(大韓獨立軍團) 대대장에 임명되었다. 1921년 지청천과 함께 서로 군정서(西路軍政署)의 군대를 이끌고 호림(虎林)에서 이만시(市)로 가는 도중에 일본 수비대를 궤멸시켰다. 이만시에 도착한 이후 다시 만주로 돌아왔다. 이 가운데 남아 있던 독립군은 자유시 참변(自由市慘變)을 당했다.

김창환은 1922년 2월 대한 통군부(大韓統軍府)를 조직했을 때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923년 대한 통의부(大韓統義府)가 조직되어 사령장이 되었다. 이후 상해의 국민 대표자 대회에 통의부 대표로 참가했다. 1925년 길림(吉林)에서 정의부(正義府)가 조직되었을 때에는 재무위원으로 활약했다. 1930년 한국독립당이 조직되어, 소속 한국독립군이 편성되자 부사령으로 활동했다. 1932년 3월 한국 독립군 총사령대리로 추대되었고, 같은 해 8월 중국군 고봉림부대(考鳳林部隊)와 연합, 쌍성보(雙城堡)를 공략하여 많은 물자를 노획했다.

1935년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이 한국독립당, 신한독립당, 조선혁명당 등이 통합되어 조직되자 김창환은 간부로서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1937년 전당비상대표대회(全黨非常代表大會)를 현익철, 양기탁, 이복원 등과 개최하고, 한국 민족 혁명당을 조직했다. 이후 ‘적색 분자’를 숙청하는 운동을 벌였다. 이후 김창환은 한국민족혁명당을 조선 혁명당으로 개칭, 적극적인 독립운동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과로로 죽었다.

상훈과 추모

1963년에 건국 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참고문헌
  • 『한국 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애국 동지 원호회, 1956)
  • 『한국 독립운동사(韓國 獨立 運動史)』5 (국사 편찬 위원회, 1969)
  • 김후경, 신재홍 저 『대한민국 독립운동 공훈사(大韓民國 獨立 運動 功勳史)』(한국 민족 운동 연구소, 1971)
  •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사전』 (한국학 중앙 연구원, 1991)
  • 『대한민국 독립 유공 인물록(大韓民國 獨立 有功 人物錄)』(국가 보훈처, 1997)
  • 국가 훈처 공훈 전자 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