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익

한자 具滋益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자
대표경력 대한북로독군부 군무과장
출생 시기/일시 1898년
활동 시기/일시 1920년 5월
몰년 시기/일시 1945년 10월 14일
추모 시기/일시 2008년
출생지 함경북도 온성군 미포면
거주|이주지 간도
학교|수학지 길림성 연길현 용정촌
활동지 길림성 왕청현
정의

일제 강점기 만주·노령방면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구자익은 1919년 왕청현 백초구에서 독립 만세 운동에 참가하고 대한 북로 독군부 군무 과장으로 활동했다.

가계

구자익은 1898년 함경북도(咸鏡北道) 온성군(穩城郡)미포면(美浦面)에서 출생하였다. 일찍이 부모님이 돌아가시고 숙부인 구춘선(具春先)의 집에서 자랐다.

활동 사항

구자익은 1905년 일제에 의하여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숙부를 따라서 간도(間島)로 이주하였다. 1906년 중국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용정촌(龍井村)에서 교육을 통해 독립사상을 고취할 목적으로 이상설(李相卨) 등이 설립한 서전 서숙(瑞甸書塾)에서 김학연(金學淵)·박일병(朴一秉)·이정치(李庭馳)·박효언(朴孝彦)·박세호(朴世豪)·오병묵(吳秉默) 등과 함께 교육을 받았다.

구자익은 1919년 3월 왕청현(汪淸縣) 백초구(百草溝)에서 전개된 독립 만세 운동에 참가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연설을 하였으며 1920년 5월경 대한 북로 독군부(大韓北路督軍府) 군무 과장(軍務課長)으로 활동하였다.

상훈과 추모

정부에서는 2008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강덕상, 『현대사 자료』26,27,28 ( みすず書房, 1977)
  • 『독립운동사』3 (독립운동사 편찬 위원회, 1983)
  • 『중국 동북 지역 한국 독립운동사』(한국 독립 유공자 협회, 1997)
  • 윤광수, 『세월속의 중국 조선 민족』(연변인민출판사, 2003)
  • 『신한 민보』(1924. 7. 17)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