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汪淸縣誌 |
|---|---|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지리/인문 지리 |
| 유형 | 문헌/단행본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지방지 |
|---|---|
| 저자 | 공저 |
| 편자 | 왕청현 지방지 편찬 위원회 |
| 간행자 | 왕청현 지방지 편찬 위원회 |
| 표제 | 『왕청현지(1909~1985)』 |
| 저술 시기/일시 | 1981년~1988년 |
| 편찬 시기/일시 | 1988년~1995년 |
| 간행 시기/일시 | 2002년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왕청현(汪淸縣)의 지리, 풍속, 특산, 인물, 주요 사건 등을 기록한 지방지.
1981년 4월, 8명으로 구성된 왕청현 지방지편찬위원회가 발족했다. 1982년 9월 『왕청현지』 목차 초고가 완성되었지만, 1983년 10월 인사 이동으로 편찬 작업은 한동안 중단되었다. 1984년 10월 편찬위원회가 재구성되어 수집된 자료를 정리하기 시작하여, 그해 5월 목차를 수정했다. 1988년에는 대부분의 집필 원고가 완성되어 1993년까지 편찬 작업이 진행됐고, 1993년부터 1995년 4월까지 수정 작업을 걸쳐 최종본을 완성했다.
『왕청현지』는 1권 1책으로 왕청현의 자연 환경, 지역 상황, 주요 사건과 인물, 그리고 문화 풍속 등의 내용을 기록한 지방지이다.
『왕청현지』 크기는 180㎜×260㎜이며, 562페이지 분량의 1책으로 이루어졌다.
『왕청현지』는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문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왕청현에서 일어난 1909년부터 1985년까지의 대사건과 왕청현의 개황에 대해서 소개했다. 제1편은 ‘건립’편으로 왕청현 위치, 면적, 연혁, 구획, 그리고 관할하고 있는 아래 급의 행정단위에 대해 언급했다. 제2편 ‘자연환경’ 분야에는 왕청현의 지질, 산맥과 강, 그리고 토지, 기후, 식생, 동물 및 자원에 대해서 기록했다. 제3편 ‘인구와 민족’에서는 인구의 변화, 분포 및 인구의 구성, 그리고 이 지역에서 살고 있는 한인[조선족], 한족 그리고 만족 및 기타 민족에 대해 소개했다.
제4편 ‘임업(林業)’에서는 숲 자원, 목제품 및 제품의 수출, 운송, 그리고 산림 보호 등에 관한 내용을 소개했다. 제5편 ‘농업’에서는 현지의 개척사, 토지 제도, 농작물, 농업 생산 기술 및 사용 기구에 대해 기록했다. 이외에는 목축과 임업에 관한 내용도 수록했다. 제6편 ‘수리(水利)의 전력’에서는 수리 공정, 발전 사업, 전력 공급 및 수리와 전력에 관한 관리정책 등에 대해서 언급했다. 제7편 ‘공업’에는 왕청현의 기계전자업, 건축 자제업, 제지업, 방직업, 화학 공업, 식품 공업, 가구업, 인쇄업 등에 대해 소개했다.
제8편 ‘교통과 체신’에서는 도로, 철도, 화물 운송, 교통 관리 및 체신 기구의 운영과 관리 등에 대해서 소개했다. 제9편 ‘성향(城鄕) 건설’에는 왕청현이 관할하고 있는 행정구역들의 도시계획 및 환경보호에 관한 내용을 담았다.
제10편 ‘상업(商業)’에서는 상품의 매매, 음식 서비스업, 자원 공급 기구, 대외 무역, 그리고 개인 기업 및 국영 기업에 관한 내용을 소개했다. 제11편 ‘재정세무’에서는 왕청현 재정기구의 연혁, 체제, 지출 및 수입, 그리고 회계 감사 등의 내용과 세무 기무의 연혁, 세금 제도 및 관리 등에 대해 언급했다. 제12장 ‘금융’에서는 금융기구, 화폐, 은행, 대출과 이자, 그리고 보험업 등에 대해서 언급했다. 제13장 ‘경제관리’ 분야에서는 왕청현의 공상(工商)과 물가 관리에 대한 내용을 정리했다.
제14편 ‘정당(政黨)과 단체’에서는 왕청현의 공산당 조직, 기구 및 회의의 상황, 그리고 민간 단체의 현황 등을 소개했다. 제15편 ‘정무(政務)’편에서는 노동자의 취업, 인사 관리, 민원 및 복지 등에 대해서 언급했다. 제16편 ‘공안과 사법(司法)’에서는 왕청현의 공안 기구, 소방 및 교통 관리, 검찰, 사법기구 등에 대해 소개했다. 제17편 ‘민정(民政), 외사, 교민 업무’에서는 선거, 결혼, 장례, 외사 및 교민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했다. 제18편 ‘노동 인사’에서는 취업과 취업 관리, 보험, 인사 제도 및 월급 등에 대한 관리와 제도 및 정책 등을 소개했다. 제19편 ‘군사’에서는 병역, 주군(駐軍), 예전에 일어난 전쟁, 방어시설 등에 대해서 언급했다.
제20편 ‘교육과 과학 기술’에서는 일반교육, 성인 교육, 대학, 직업 및 특수 교육 과정, 과학 기술 등을 수록했다. 또한 과학기술 관련 기구와 전문가 구성, 성과 및 관리 방법을 비롯하여 지진 및 기상 예측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제21편 ‘문화’ 분야에서는 문화기구, 현지의 로컬 문화와 설화, 그리고 공연, 전시회, 뮤지컬, 미술, 촬영, 문학과 도서, 방송, 문화재, 박물관, 유적지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제22편 ‘위생과 체육’ 부분에서는 질병의 예방과 치료, 왕청현의 의료기구, 그리고 체육행사 및 시설, 기구 등에 대해 소개했다. 제23편 ‘사회’ 분야에서는 민족 풍습, 시민들의 생활, 그리고 종교 신앙, 설화와 전설, 방언 및 풍속 등에 대해 소개했다. 제24편 ‘인물’에는 유명 인사들의 전기와 열사 명단을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