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和龍市志 |
|---|---|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지리/인문 지리 |
| 유형 | 문헌/단행본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지방지 |
|---|---|
| 저자 | 공저 |
| 편자 | 화룡시 지방지 편찬 위원회 |
| 간행자 | 길림 인민출판사 |
| 표제 | 『화룡시지(1988~2000)』 |
| 저술 시기/일시 | 1996년~2002년 |
| 편찬 시기/일시 | 2002년~2007년 |
| 간행 시기/일시 | 2008년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화룡시(和龍市)의 지리, 풍속, 특산, 인물, 주요 사건 등을 기록한 지방지.
『화룡시지』는 『길림성 지방지 총서』의 제24권으로 간행되었다. 이 책은 1988년부터 2000년 말까지 화룡시의 주요 사건, 지리환경, 풍속 및 인물, 그리고 특산품과 행정, 경제, 민원 등 다양한 내용을 기록했다.
내용 구성은 화룡의 연혁, 자연 환경, 인구·민족, 농업, 목축업, 특산품, 전력, 공업, 교통, 상업, 금융, 경제, 과학 기술, 교육, 정책, 정치, 군사, 복지, 외사, 문화, 위생, 체육, 인물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책은 150만자 분량으로 총 33편의 주요 항목이 설정되어 있다.
화룡현 정부는 1992년에 첫 지방지 『화룡현지』를 간행했고, 이후 현지의 개황을 소개하는 20여 권의 자료집을 간행했다. 그 뒤 1994년 화룡현이 화룡시로 변경되자, 1996년 화룡시 정부는 『화룡시지』를 편찬을 결정하고 그해에 초고를 완성했다. 1997년 화룡시 지방지편찬위원회가 구성된 뒤에 『화룡시지편찬방안(초안)』이 작성되면서, 1998년부터 『화룡시지』 편찬 작업을 본격화했다. 2002년까지 자료 수집 및 각 편의 집필 작업이 대부분 끝이 났고, 2002년에 원고를 수집하여 2006년 최종 원고가 완성되었다. 이후 길림성 지방지편찬위원회의 의견을 받아 2007년에 다시 수정하여 2008년에 간행되었다.
『화룡시지』는 『길림성 지방지 총서』 중의 제24권이다. 이 책은 화룡시의 모든 자연환경, 지역상황, 주요 사건과 인물, 문화풍속 등의 내용을 기록한 지방지이다.
『화룡시지』는 인쇄본으로 크기는 180㎜×260㎜이며, 960페이지 분량의 1책으로 이루어졌다.
『화룡시지』는 총 33편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1988년부터 2000년까지 화룡시에서 일어난 주요 사건과 개황을 소개했다. 제1편은 ‘건립과 구획’ 편으로 화룡시의 위치, 면적, 연혁, 구획, 관할 행정단위에 대해 언급했다. 제2편 ‘자연 환경’ 분야에는 화룡시의 지질, 산맥과 강, 토지, 기후, 식생, 동물 및 자원에 대해서 기록했다. 제3편 ‘인구’ 부분에는 화룡시 인구의 변화, 분포 및 인구 구성 등을 소개했다. 제4편 ‘민족’에서는 화룡시에 있는 각 민족의 이전 역사, 분포, 구성 및 언어와 성씨 등에 대해서 언급했다.
제5편 ‘농업’ 부분에서는 화룡시의 개척사, 토지 제도, 농작물, 농업 생산 기술 및 사용 기구 등의 내용을 담았다. 이외에는 목축과 임업에 관한 내용도 담았다. 제6편 ‘임업’ 부분에서는 화룡시 임업에 관한 체제 개혁, 산림 자원, 목자재의 생산, 판매 및 운송 등을 언급했다. 제7편 ‘수리’ 분야에서는 화룡시 수리 공정, 홍수예방, 수도 공급 등의 제도와 정책, 경영에 대해 소개했다.
제8편 ‘공업’ 부분에서는 기계 전자업, 건축 자제업, 제지업, 방직업, 화학 공업, 식품 공업, 가구업, 인쇄업 등에 관한 소개와 주요 기업의 개요에 대해 정리했다. 제9편 ‘성향(城鄕) 건설’ 부분에 대해서는 도시 계획 및 건설에 관한 기구, 체제의 개혁, 법규, 시내의 구획 및 건축업에 대해서 언급했다. 제10편 ‘교통’에 대해서는 도로, 철도에 대한 내용을 소개했다. 제11편 ‘체신과 통신’에 대해서는 기구 소개, 정책 개혁, 통신사의 상황 등에 대한 내용을 정리했다.
제12편 ‘상무(商務)’ 부분에는 국영 기구와 기업 등을 소개했다. 제13편과 제14편은 ‘민영 경제’와 ‘재정과 세무’에 관한 내용을 소개했다. 제15편과 제16편에서는 금융과 현지의 종합적인 경제 정책 관리 및 제도에 대해서 언급했다.
제17편부터 제22편까지는 정부의 기능 및 단체에 관한 내용들을 소개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화룡시 중국 공산당의 조직, 화룡시의 인민 대표 대회 및 인민 대표의 선거, 시 정부의 기능 및 인민 정협(政協)에 관한 내용과 화룡시의 민간 단체에 대한 소개, 현지 공안과 사법 기구에 관한 내용들을 포함한다. 제23편은 화룡시의 군사에 대해서 소개를 했고, 제24편은 민정(民政)에 대해 소개했다. 제25편은 인사, 노동자 및 사회 복지에 대해 언급했다.
제26편 ‘교육’에서는 교육 기구, 시설, 전문 인재의 양성 및 구성 등에 대한 내용을 정리했다. 제27편 ‘과학 기술’ 분야에서는 과학 기술의 성과, 프로젝트의 진행, 지진 및 기상 예측에 대한 내용을 정리했다. 제28편 ‘문화와 체육’ 분야에서는 문화기구, 현지의 지역 문화와 설화, 그리고 공연, 전시회, 뮤지컬, 미술, 촬영, 문학과 도서, 방송, 문화재, 박물관, 유적지, 체육 시설 및 기구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제29편 ‘위생’ 부분에서는 위생 기구, 체제 개혁, 의료 시설과 의료진, 질병 예방 및 약품 관리 등에 관한 내용을 정리했다. 제30편 ‘환경 보호’ 분야에서는 환경오염, 환경관리 등에 관한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다. 제31편 ‘생태도시 건설’ 분야에서는 화룡시의 친환경 발전 전략에 대해서 소개했다.
제32편 ‘사회 생활’에 대해서는 화룡시의 민족 풍습, 시민들의 생활, 그리고 종교에 대해 소개했다. 제33편 ‘인물’ 부분에서는 화룡시의 인물 전기 및 열사 명단을 정리했다. 부록에는 주요 참고 문헌 목록과 내용 수정표, 후기, 찾아보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