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敦化市志 |
|---|---|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지리/인문 지리 |
| 유형 | 문헌/단행본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지방지 |
|---|---|
| 저자 | 공저 |
| 편자 | 돈화시 지방지 편찬 위원회 |
| 간행자 | 신화 출판사 |
| 표제 | 『돈화시지』 |
| 저술 시기/일시 | 1984년~1987년 |
| 편찬 시기/일시 | 1987년~1991년 |
| 간행 시기/일시 | 1991년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돈화시(敦化市)의 지리, 풍속, 특산, 인물, 주요 사건 등을 기록한 지방지.
『돈화시지』는 1984년부터 기획했고, 1985년 4월 편찬위원회를 구성하고 자료 수집을 시작하여, 1987년 편찬 과정에 들어갔다. 그 뒤 2년의 편찬과 수정을 거쳐 1991년 간행되었다. 이 책은 80여 만자의 분량으로 270개의 도표와 69장의 그림으로 최종본을 완성했다.
『돈화시지』는 『길림성 지방지 총서』 중의 여섯번째 책이다. 이 책은 돈화시의 모든 자연환경, 지역 상황, 주요 사건과 인물, 그리고 문화 풍속 등을 다룬 지방지이다.
『돈화시지』는 인쇄본으로 크기는 180㎜×260㎜이며, 596페이지 분량의 1책으로 이루어졌다.
『돈화시지』는 총 28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문시작에 앞서 돈화시 개황 소개, 그리고 돈화시의 대사기(大事記)를 연대별로 정리했다.
이어서 제1편 ‘건립’ 부분에서는 돈화시의 위치, 면적, 연혁, 구획, 그리고 관할 하위 행정 단위에 대해 언급했다. 제2편 ‘자연환경’ 분야에는 돈화시의 지질, 산맥과 강, 그리고 토지, 기후, 식생, 동물 및 자원에 대해 기록했다. 제3편 ‘인구와 민족’ 부분에는 돈화시의 인구 변화, 분포 및 인구 구성에 대해 소개하고, 민족의 구성 및 분포에 대한 정보를 정리했다. 제4편과 제5편은 정당(政黨)과 정권에 관한 내용이다. 즉 돈화시 공산당 조직의 연혁 및 기구, 그리고 인민 대표의 선거와 인민 대표회의의 개최 등에 관한 내용들이다. 제6편 ‘단체’에서는 노동자 조직, 청년 조직, 여성 조직 및 기타 민간 조직 등을 소개했다.
제7편부터 제9편까지는 돈화시의 농업, 임업 및 공업에 대해 언급했다. 농업편은 돈화시의 개척사, 토지 제도, 농작물, 농업 생산기술 및 사용 기구에 대해 기록을 했다. 이 외에 목축과 임업에 관한 내용도 담았다. 임업편은 임업에 관한 체제 개혁, 산림 자원, 목자재 생산, 판매 및 운송 등의 내용에 대해 언급했다. 공업편을 보면 기계, 전자공업, 전력 발전 공업, 화학 공업, 제약 공업, 건축 자재 공업 및 경공업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제10편 ‘교통 및 체신’ 분야에서는 도로, 철도의 여객과 화물 운송, 교통 관리, 체신과 통신 등에 대해 언급했다. 제11편 ‘수리’ 분야에서는 돈화시 수리공정, 홍수예방, 수도 공급 등에 관한 제도와 정책, 경영 등을 소개했다. 제12편 ‘상업’ 부분에서는 돈화시 국영과 개인 기업의 발전사, 그리고 자원의 공급과 판매 및 대외무역 등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제13편과 제14편은 돈화시의 식량 관련 내용과 물가의 정책, 관리 등의 관련 내용을 정리했다. 제15편 ‘공상 행정 관리’ 내용에서는 기업 법인 등록, 상표 등록, 시장관리 등에 대해 소개했다. 제16편 ‘재정 금용’ 부분에서는 기업의 수익과 지출, 그리고 공공기구의 재정관리 및 화폐, 금융관리, 대출 및 은행업무, 보험업 등에 대한 내용을 정리했다. 제17편 ‘도시건설’ 부분에서는 도시의 구획, 건축물의 설계, 부동산업에 대한 관리 등에 대해 언급했다.
제18편 ‘사법(司法)’은 공안, 검찰, 법원 및 사법 행정 기구 등을 소개했다. 제19편 ‘민정(民政)’ 분야에서는 사회 복지, 선거, 혼인 등록 및 장례식의 변천 등에 관한 내용을 기록했다. 제20편은 돈화시의 군사 역사 및 변천사에 대해 소개하고, 제21편은 돈화시의 인사 변경, 행정기구 관리 및 제도에 대해 정리했다.
제22편 ‘과학 기술’ 분야에서는 과학 기술의 성과, 프로젝트의 진행, 그리고 지진 및 기상 예측에 대한 내용을 정리했다. 제23편 ‘교육’ 분야에서는 일반 교육, 특수 및 직업 교육, 성인 교육 등에 관한 기구와 교육진, 그리고 정책 등에 대해서 소개했다. 제24편 '문화' 분야에서는 문화기구, 현지의 로컬 문화와 설화, 그리고 공연, 전시회, 뮤지컬, 미술, 촬영, 문학과 도서, 방송, 문화재, 박물관, 유적지 등의 내용을 정리했다.
제25편 ‘위생’에 대해서는 행정 관리, 전염병의 예방과 치료, 의료 사업, 의료진, 의료시설 및 기술, 그리고 의료 교육 등에 대해서 언급했다. 제26편은 돈화시의 체육기구, 시설 및 행사에 대해 소개했다. 제27편 ‘사회’ 분야에서는 돈화시의 민족풍습, 시민들의 생활, 그리고 종교에 대해 소개했다. 제27편 ‘인물’ 부분에서는 돈화시의 인물 전기 및 열사 명단을 정리했다. 그리고 부록에서는 돈화시 혁명 열사 기념탑의 비문, 길림성 인민 정부의 공문 외에 참고문헌 목록 등을 수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