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나리 타령」

한자 날나리 打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박자구조 2/4박자
정의

조선족 학교 9학년의 『의무 교육 조선족 학교 교과서(상권)』에 수록된 신민요.

개설

중국의 조선족 소학교와 초급 중학교의 9년제 의무 교육에서 음악 교육은 ‘음악 과정 표준’이라는 교육 과정에 준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2004년도부터는 중·소학교 교육 과정을 통합한 음악과 교육 교수, 학습 방법에 따라 음악 교육을 진행한다. 또한 ‘의무 교육 조선족 학교 음악 과정 표준’을 새로이 제정하면서 기본 이념 10가지를 제시했는데, 그중 8번 조항이 “민족 음악을 뚜렷이 해야 한다.”라고 적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민족의 민요에 대한 교육적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구성 및 형식

「날나리 타령」은 전체 3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4박자로 전체적으로 매우 흥겹고 명랑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내용

청제비 날아왔네 정든 집을 찾아왔네

맑은 하늘 봄 하늘 훨훨 날아 예

기쁨에 넘친 명절날 꽃들도 활짝 피었네

꽃나비 날아왔네 고향마을 찾아왔네

향기로운 화원에 훨훨 날아 예

꽃피는 살림 즐거워 노래도 넘쳐난다네

모두 다 달려왔네 남녀노소 모여왔네

손에 손을 잡고서 빙빙 돌아가고

성수가 났네 상모춤 무지개 곱게 비꼈네

의의와 평가

봄날 꽃이 피고 제비가 날아든다고 하여 마을 사람들이 상모춤을 추면서 한바탕 흥겨운 판을 벌이는 모습을 자연스레 연상케 한다. 실제로 「날나리 타령」은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연변가요’로 인식되고 있다. 심지어 연변조선족자치주 한인들의 전통적인 삶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날나리 타령」을 일종의 뮤직비디오 형식으로 제작하기도 했다. 「날나리 타령」은 한인들의 세시풍속으로서 화전놀이나 민속예술로서 상모춤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기에 그 계승에 더욱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 김덕균, 『중국 조선 민족 예술 교육사』(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2)
  • 『의무 교육 조선족 학교 교과서(상권)』(연변교육출판사, 2004)
  • 김성희, 「조선족 전통 음악 교육의 현황과 전망」(『국악과 교육』28, 한국 국악 교육 학회, 2009)
  • 한국 민요 대전(http://www.imbc.com/broad/radio/fm/minyo)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