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타령」

한자 새 打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정의

조선족 학교 8학년의 『의무 교육 조선족 학교 교과서(하권)』에 수록된 전통 민요.

개설

중국 조선족 소학교와 초급 중학교의 9년제 의무 교육에서 음악 교육은 ‘음악 과정 표준’이라는 교육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2004년부터는 중·소학교 교육 과정을 통합한 음악과 교육 교수 및 학습 방법에 따라 음악 교육을 진행한다. 또한, ‘의무 교육 조선족 학교 음악 과정 표준’을 새로이 제정하면서 기본 이념 10가지를 제시했는데, 그중 8번 조항이 “민족 음악을 뚜렷이 해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민족의 민요에 대한 교육적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구성 및 형식

「새타령」은 남도 민요와 서도 민요 두 종이 있다. 이 「새타령」은 서도 민요로써 선율의 구성음은 레, 미, 솔, 라, 도의 5음을 사용한다. 그중 레, 라, 도의 3음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도’에서 ‘라’로 흘러내리는 가락이 많으며, ‘라’를 많이 떨어주고 ‘레’ 또는 ‘라’에서 종지하는 경우가 많다.

내용

새가 새가 날아든다 새가 새가 날아든다

실실 늘어진 양버들엔 황금이런가 꾀꼴새야

구성진 네 노래 멋들었다 구성진 네 노래 멋들었다

금수강산이라 살기가 좋아서 노래하냐

둥기둥기 둥둥 둥기둥기 둥둥

이 나무 저 나무 찾아서 쌍쌍이 날아든다

새가 새가 날아든다 새가 새가 날아든다

한창 춘삼월 좋은 때라 참지 못하는 저 뻐꾹새

올해도 풍년을 노래하네 올해도 풍년을 노래하네

사래긴 밭에 씨앗을 담뿍이 뿌려가자

둥기둥기 둥둥 둥기둥기 둥둥

이 나무 저 나무 찾아서 쌍쌍이 날아든다

의의와 평가

신미요의 대중적 인기에 한몫한 작품이 남도민요 「새타령」이다. 이 「새타령」은 서도민요로써 남도민요 「새타령」 과는 사설과 음률에서 차이가 크다. 서도민요라 하면 일반적으로 황해도와 평안도에서 전승되는 민요 일반을 일컫는다. 주로 북한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민요라 할 수 있다. 한국 전통 민요와 함께 북한의 전통 민요를 공교육 현장에서 계승하고 있다는 점은 정치적인 문제를 제외한다면, 한민족 무형문화유산의 균형을 고려한 올바른 계승이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다.

참고문헌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