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 타령」

한자 金剛山 打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정의

조선족 학교 8학년의 『의무 교육 조선족 학교 교과서(상권)』에 수록된 전통 민요.

개설

중국의 조선족 소학교와 초급 중학교의 9년제 의무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음악 교육은 ‘음악 과정 표준’이라는 교육 과정으로 시행한다. 그리고 2004년도부터는 중·소학교 교육 과정을 통합한 음악과 교육 교수, 학습 방법에 따라 음악 교육을 진행한다.

또한 ‘의무교육 조선족 학교 음악 과정 표준’을 새로이 제정하면서 기본 이념 10가지를 제시했는데, 그중 8번 조항이 “민족 음악을 뚜렷이 해야 한다.”라고 적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한민족의 민요에 대한 교육적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구성 및 형식

「금강산 타령」은 전통 민요와 잡가의 중간 형태에 속한다. 「금강산 타령」은 전체 3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1연에서는 머루, 다래와 같은 산 과일을, 2연에서는 달, 안개, 무지개와 같은 자연경관을, 3연에서는 기암괴석을 넘나드는 갈매기를 노래하고 있다. 중모리장단으로 전개되어 전체적으로 매우 흥겨운 정서를 자아내고 있다.

내용

산도 깊고 골도 깊다 그늘마다 머루다래

줄줄이 쌍쌍 줄줄이 쌍쌍

열렸구나 피었네 열렸구나 피었네 에헤

에헤요 에루와 이곳이 산이로구나

이 산 저 산 다 버리고 강원도 금강산이로구나

비로봉에 달이 떴다 안개 속에 날아든다

무지재 쌍쌍 무지개 쌍쌍

손짓하며 날 불렀네 손짓하며 날 불렀네

에헤요 에루와 이곳이 산이로구나

이 산 저 산 다 버리고 강원도 금강산이로구나

봉이마다 기암괴석 물결마다 파도치네

갈매기 쌍쌍 갈매기 쌍쌍

날아를 드노라 놀아를 드노라

에헤요 에루와 이곳이 산이로구나

이 산 저 산 다 버리고 강원도 금강산이로구나

의의와 평가

「금강산 타령」은 사설과 음률에 따라 각기 다른 두세 편이 전승되고 있다. 본 「금강산 타령」은 그중 하나로서 한국에서는 ‘유도리’라는 창자에 의해 널리 알려진 바 있다. 본 「금강산 타령」은 유도리가 부른 것과 같은 작품이다. 조선족 타령의 대부분은 전통 민요이기는 하나 그들의 역사와 삶을 반영하여 사설을 변형하였다. 그러나 「금강산 타령」은 옛 원형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계승의 의의가 남다르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김덕균, 『중국 조선 민족 예술 교육사』(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2)
  • 『의무 교육 조선족 학교 교과서(상권)』(연변교육출판사, 2004)
  • 김성희, 「조선족 전통 음악 교육의 현황과 전망」(『국악과 교육』28, 한국 국악 교육 학회, 2009)
  • 한국 민요 대전(http://www.imbc.com/broad/radio/fm/minyo)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