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닐리리야」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정의

조선족 학교 7학년의 『의무 교육 조선족 학교 교과서(하권)』에 수록된 전통 민요.

개설

중국의 조선족 소학교와 초급 중학교의 9년제 의무 교육에서 음악 교육은 ‘음악 과정 표준’이라는 교육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2004년도부터는 중·소학교 교육 과정을 통합한 음악과 교육 교수, 학습 방법에 따라 음악 교육을 진행한다.

이와 함께 ‘의무 교육 조선족 학교 음악 과정 표준’을 새로이 제정하면서 기본 이념 10가지를 제시했는데, 그중 8번 조항이 “민족 음악을 뚜렷이 해야 한다.”이다. 이에 따라 한민족의 민요에 대한 교육적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구성 및 형식

「닐리리야」는 굿거리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굿거리장단을 흔히 ‘풍년가 장단’이라고도 하는데, 그만큼 율동성이 강하고 흥겨운 정서를 자아내는 것이 특징이다. 박절 형식은 12/8, 6/8로 되어 있다.

내용

늴리리야 늴리리야 손풍금 타면서

우리놀아보자 닐닐리리 닐리리야

꾀꼴새만 노래하나 우리네 노래에

새가 모여든다 닐닐리리 닐리리야

꽃나비만 춤을 추나 우리네 춤재간에

나비 울고 간다 닐닐리리 닐리리야

의의와 평가

한인[조선족] 사회에서 널리 전승되고 있으며, 또 『의무 교육 조선족 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닐리리야」는 “닐닐리리 늴리리야”라는 후렴만 계승하고 있을 뿐 나머지 사설은 일체 변형된 것이다. 그러나 굿거리장단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절은 메기는 소리로, 후절은 받는 소리로 하여 흥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비록 사설은 변형되었지만, ‘닐리리야’라는 제목으로 한민족 전통 민요를 공교육 현장에서 보급하고 있다는 점은 한민족 무형 문화 유산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높이 평가될 만하다.

참고문헌
  • 김덕균, 『중국 조선 민족 예술 교육사』(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2)
  • 『의무 교육 조선족 학교 교과서(상권)』(연변교육출판사, 2004)
  • 김성희, 「조선족 전통 음악 교육의 현황과 전망」(『국악과 교육』28, 한국 국악 교육 학회, 2009)
  • 한국 민요 대전(http://www.imbc.com/broad/radio/fm/minyo)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