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圖們驛 |
|---|---|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 유형 | 지명/시설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도문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2급 기차역 |
|---|---|
| 준공 시기/일시 | 1933년 5월 15일 |
| 개관|개장 시기/일시 | 1935년 |
| 최초 설립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도문시 광명길 18번지북위:42°57'54.43"동경:129°50'32.76" |
| 현 소재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도문시 광명길 18번지북위:42°57'54.43"동경:129°50'32.76"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도문시에 있는 2급 기차역.
1931년 중국을 침략한 일본군이 “길회 철도”의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서 1932년 5월부터 길돈 철도의 연장선, 즉 돈도 철도의 공사를 하기 시작했다. 돈도 철도는 돈화시부터 출발하여 대석두, 안도, 천도철도를 따라 지금의 도문 지역까지 운영한 철도이다. 1933년 5월 15일에 철도공사가 도문 지역까지 연결되어 도문임시역의 운영이 시작했다.
1935년, 도문역이 현 위치에 설립되었다.
도문역은 이층인 대합실 건물로 되어 있다. 대합실 건물에는 휴게실, 매표소 등 공간이 있다. 이 외에는 플랫폼과 화물 운송이 필요한 공간 등이 있다.
지금 도문역을 경유하는 것은 장도(長圖) 철도, 도가(圖佳) 철도, 그리고 도혼(圖琿) 철도 등이다. 도문역에서 운행 중인 열차는 빠른 열차와 일반열차를 포함한 총 16편이 있다. 이 중에서 도문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연길(延吉)역으로 가는 4290편, 장춘(長春)역으로 가는 K7366·K7368·K7324편, 북경(北京)역으로 가는 K216편, 영구(營口)역으로 가는 K7370편, 하얼빈동(哈爾濱東)역으로 가는 2038·2035편 등 6편이 있다. 그리고 도문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는 연길역에서 출발한 4289편, 장춘역에서 출발한 K7365·K7367·K7323 편, 북경역에서 출발한 K215편, 하얼빈동역에서 출발한 2036/2037편, 그리고 영구역에서 출발한 K7369편이 있다. 이외에는 장춘역과 목단강(牡丹江)역 구간에서 운행하는 2167·2168편도 도문역을 경유하고 있다.
도문역은 국경선에 있지만 수분하역과 달리 화물 운송을 주 업무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와 북한과의 여객 운송 열차를 운행하고 있지 않는다. 2011년부터 북한으로 향하는 관광 열차를 운행하기 시작했는데 안정적으로 운행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공사중인 길도혼(吉圖琿) 철도는 길림, 도문, 그리고 혼춘(琿春)시를 연결하여 길림성 교통계획중의 주요 프로젝트로 진행하고 있으며 2014년에 개통할 예정을 하고 있다. 길도혼 철도가 개통하면 도문에서 혼춘역을 통해서 북한으로 가는 여객 열차를 운행할 수 있을 것으로 계획을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