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역

한자 安圖驛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시설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3급 기차역
면적 1,700㎡
홈페이지
준공 시기/일시 1933년
개관|개장 시기/일시 1933년
이전 시기/일시
개칭 시기/일시
최초 설립지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경산로북위:43°6'58.74" 동경:128°54'32.79"
현 소재지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경산로북위:43°6'58.74" 동경:128°54'32.79"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명월구진에 있는 3급 기차역.

개설

안도역은 1933년에 처음으로 설립했다. 장도(長圖) 철로와 통백(通白) 철로가 안도역을 경유하고, 있고 현재 여객 및 화물 운송 업무를 모두 하고 있는 3급 기차역이다. 설립한 후에 이전한 경우가 없었고 길림성 안도현 명월구진에서 자리를 잡고 있다.

건립 경위

안도역장도(長圖:장춘-도문) 철로의 설립에 따라 만들어진 역이다. 장도철로는 당시 일본이 만주에서 조선까지 직통 열차를 개통하려고 1905년부터 계획한 노선이었다. 1933년에 만들어진 장도철로는 일본이 중국 동북지역을 장악할 수 있고 또한 동북지역의 자원을 침탈하는 주요 경로가 되었다.

변천

안도역은 1933년 준공되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구성

안도역은 지상 3층의 건물로 구성되어있고 주로 대합실과 매표소, 그리고 두개의 플랫폼으로 구성되어 있다.

운행상황

안도역은 여객 및 화물 운송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여객의 탑승 및 하차, 그리고 짐의 위탁 등 여객 운송 업무를 하고 있다. 이외에는 대절화물, 소화물 등의 화물 운송 발송 및 하차 업무를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까지 총 22편의 기차가 안도역을 경유하고 있는데 목단강역, 도문역, 하얼빈역, 장춘역, 그리고 청도역을 연결하고 있다.

현황

안도역의 소재지인 안도현백두산 제1현이란 명성으로 유명하다.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서남쪽에 있고 안도현의 남쪽은 북한과 인접하고 있다. 그리고 관할하고 있는 이도백하진(二道白河鎮)은 백두산 관광 경제 개발구이며 안도역에 도착하는 기차의 시간이 관광객에게 적합한 시간이기 때문에 많은 백두산으로 향하는 관광객들이 안도역을 지나간다.

참고문헌
  • 尹新华,『长图铁路的开通与日本侵华政策的演变』(长白学刊, 2005)
  • 安图县地方志编撰委员会, 『安图县志』(吉林人民出版社, 2006)
  • 백도 백과:
  • http://baike.baidu.com/link?url=n9jWyKC4PJI11Ph89nHEBPX6qsEQkVCUaqz7nshvxW_WGyA2M1ij2cRbdccw5SqIfUoyTdk8YWcinG6AgIHA1_
  • 안도현 정부 공식사이트(http://www.antu.gov.cn/)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