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응섭

한자 金應燮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조선 국권 회복단 중앙총회|한족회|임시정부의 법무장관|조선 공산당 만주총국|재만농민동맹
출생 시기/일시 1877년
활동 시기/일시 1908년
활동 시기/일시 1911년~1912년
활동 시기/일시 1913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20년 3월
활동 시기/일시 1921년~1922년
활동 시기/일시 1923년
활동 시기/일시 1924년
활동 시기/일시 1924년 12월
활동 시기/일시 1927년 9월
활동 시기/일시 1928년 2월
몰년 시기/일시 미상
출생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활동지 한성
활동지 평양
활동지 대구
활동지 상해
활동지 유하현 삼원보
활동지 러시아이르크츠크
활동지 상해
활동지 유하현 삼원보
활동지 길림성 반석현
활동지 길림성 반석현
활동지 갈람성 반석현
정의

일제 강점기 만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서로 군정서에 참여하였으며 임시정부의 법무장관을 역임하였고 이르쿠츠크파 고려 공산당에 입당하여 활동하였다. 조선 공산당 만주 총국의 간부가 되었고 중국 공산당 만주성 반석현 위원회의 구성에 일조하여 동북 인민 혁명군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가계

의열단원 김지섭(金祉燮)의 일가이다.

활동 사항

김응섭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출생으로 본관은 풍산(豊山)이고 이명으로는 김응범(金應範)을 사용하였다. 자는 경장(景章), 호는 동전(東田)이다.

1908년 재경 영남 인사들이 중심이 되어 설립한 교남교육회의 본회 임원으로 참가하여 교육 구국 운동을 전개하였다. 1911년 1월에서 1912년 6월까지 평양지방법원의 판사, 검사를 역임한 뒤 대구에서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1913년 대구에서 결성된 비밀 결사 조선 국권 회복단 중앙총회에 가입해 독립운동 자금을 조달하였고, 1919년 파리에 보낼 독립 청원서를 영어로 번역하였다.

이후 만주로 망명한 김응섭서로 군정서에 참여하였고 이주 한인들의 정착 생활을 위해 활동하였다. 3·1 운동 직후에는 중국상해(上海)로 건너가 임시정부의 법무장관으로 활약했고 블라디보스토크를 시찰하였다. 1920년 3월 유하현(柳河縣) 삼원보(三源堡)에서 한족회(韓族會)의 조직을 쇄신하고 법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김응섭은 이후 1921년 이르쿠츠크파 고려 공산당에 입당하였고 1922년 베르흐네우진스크 고려 공산당 연합대회에 출석해 임시 집행부 위원이 되었다. 동년 6월 남만주 군정서 부총재로 활약하면서 김찬규를 국내의 경상북도 지역으로 파견해 군자금을 모집케 하였다. 이 시기 경상북도 출신의 김시현(金始顯), 신태식 등과 함께 의용단의 결성에도 참여하였다.

김응섭은 1923년 의열단에 가담하였고 동년 6월 상해에서 임시정부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 국민대표회의에 참가해, 창조파의 일원으로서 국민위원회 결성에 합류하였다.

1924년 11월 정의부가 발족되자 김응섭은 중앙심판원장을 맡아 활동하였고 같은 해 12월 길림성(吉林省) 반석현(盤石縣)에서 김원식(金元植), 김상덕(金尙德), 이광민(李光民) 등과 함께 ‘자유 평등의 정신과 공존공영의 대의로써 노력대중을 단결하고 신생활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 한족 노동당을 결성하고 상무 집행위원장 겸 중앙 집행 위원이 되었다. 기관지 『노동보』 발행을 주도하였다.

1927년 9월경 조선 공산당 만주 총국의 간부가 되었고 1928년 2월 길림성 반석현에서 한족 노동당을 개편해 재만 농민 동맹(在滿農民同盟)을 결성하고 중앙 집행위원장이 되었다. 이 때 김동삼·김원식·이영형·김상덕·이일심 등도 참여하였다.

김응섭은 1928년 5월 길림성에서 개최된 전민족 유일당 조직 촉성 회의에 재만 농민 동맹 대표자로 참석해 촉성회파의 일원이 되었다. 남만주 지역에서의 재만 농민 동맹의 활동은 1930년대 중국 공산당 만주성 반석현 위원회의 구성에 일조하였고 훗날 동북 인민 혁명군의 유력한 기반이 되었다.

참고문헌
  • 경상북도경찰부 편, 『폭도사 편집 자료 고등 경찰 요사』(경상북도 경찰부, 1934)
  • 김준엽·김창순,『한국 공산 주의 운동사』5 (청계연구소, 1988)
  • 강만길성대경, 『한국 사회주의 운동 인명 사전』(창작과 비평사, 1996)
  • 디지털 안동 문화 대전 (http://andong.grandculture.net/?local=andong)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