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黃正海 |
|---|---|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 성격 | 사회주의 운동가 |
|---|---|
| 성별 | 남 |
| 대표경력 | 공산주의아동단|중국 공산당 훈춘현위원회|동북 인민 혁명군 제2군|투구자(鬪溝子)전투|동북항일연군|한총령전투 |
| 출생 시기/일시 | 1918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1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2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5년 2월 |
| 활동 시기/일시 | 1937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8년~1939년 |
| 활동 시기/일시 | 1940년 |
| 몰년 시기/일시 | 1941년 |
| 출생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훈춘시 |
| 학교|수학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훈춘시 |
| 활동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훈춘시 |
| 활동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훈춘시 |
| 활동지 | 길림성 |
| 활동지 | 길림성 |
일제 강점기 만주에서 항일 투쟁을 전개한 사회주의 운동가.
황정해는 길림성(吉林省) 훈춘현(琿春縣)에서 독립군지도자 황병길(黃炳吉)의 1남 3녀 중 외아들로 태어나 어려서 부모를 잃고 3명의 누나 밑에서 자랐다. 연통랍자(煙筒拉子)에서 한인 소학교를 졸업하고 대황구(大荒溝)의 삼일 학교(三一學校) 보습반에서 수학하였다. 1931년 1월 공산주의 아동단에 가입하여 단장이 되었고 1932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가입하였다.
중국 공산당 동만 특위(東滿特委)와 훈춘현 위원회에서 통신원으로 활동하였고 1933년 말 훈춘 시내에서 유격대 보급 활동에도 종사하였다.
1934년 3월 일본군에 체포되었으나 탈출하여 항일 유격 근거지인 남구(南溝) 밀영(密營)으로 귀환하여 그해 가을 유격대에 입대하였다.
1935년 2월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 제4단 제3영 제4련 제4배 소속 되었고 가을에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였으며 동북 인민 혁명군 제2군 북만(北滿)원정대의 일원으로 영안(寧安)과·액목(額穆) 지역으로 이동하여 11월 액목현성 습격전투에 참가하였다.
1937년 동북 항일 연군 제1로군경위려 배장과 제2군 교도단 제2련 기관총배 배장으로 활약하였고 1938년 투구자(鬪溝子) 전투와 대문지구(大門枝溝) 전투, 1939년 길림성 돈화현(敦化縣) 대포채하 공격전투·8월에는 한총령(寒總嶺) 전투 등에 참전하였다. 한총령 전투에서는 일본군 토벌대 사령관 마쯔시타(松下)를 사살하였다. 1940년에는 여름 제1로군 사령부 기관총배 배장이 되었다.
1941년 여름 유격대의 식량 조달을 위해 사냥하러 나갔다가 맹수의 습격을 받아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