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趙仁默 |
|---|---|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 성격 | 사회주의 계열의 무장 독립운 동가 |
|---|---|
| 성별 | 남 |
| 대표경력 |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단원|반일자위대 중대장|동북항일연군제1로군 제1군 교도2단장 |
| 출생 시기/일시 | 1912년 |
| 활동 시기/일시 | 1929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0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3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4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6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6년 7월 |
| 활동 시기/일시 | 1938년 |
| 몰년 시기/일시 | 1939년 |
| 출생지 | 러시아블라디보스토크 |
| 거주|이주지 | 길림성 연길현 |
| 학교|수학지 | 길림성 연길현 |
| 활동지 | 길림성 연길현 |
| 활동지 | 길림성 연길현 용연동 |
| 활동지 | 연길현, 안도현 |
| 활동지 | 환인, 금천 |
일제 강점기 만주 지역에서 무장 투쟁을 전개한 사회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
조인묵은 1924년 중국길림성(吉林省) 안도현(安圖縣)에 정착하였다가, 다시 길림성 연길현으로 거주지를 옮겼다. 1928년 야학에서 공부하였다.
조인묵은 1929년 말 반제(反帝) 동맹 회원이 되었으며, 1930년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단원이 되어 연길현 용연동(龍淵洞)·금성(錦城)·태암(台岩) 지역에서 사회주의 사상 전파를 위해 애썼다. 1933년 중국 공산당 당원이 되었으며, 1934년 4월 사방대(四方臺) 반일자위대 대원으로 입대한 후, 같은 해 8월 항일 유격근거지로 거주지를 옮겼다.
조인묵은 1935년 항일 유격 근거지인 안도현 차창자(車廠子)로 가서 반일자위대 중대장직을 맡았으며, 1936년 남만(南灣) 반일자위대를 인솔하고 가서 동북 항일 연군 제 2군 소속대원으로 활동하였다. 같은 해 7월 동북 항일 연군 제1로군 제1군 교도2단장직을 맡아 환인(桓仁)·금천(金川) 등지에서 벌어진 항일 유격 전투에 참전하였다. 이후 조인묵은 1938년 7월부터 제1로군 총부 경위려 제2단 단장으로 활약 중이던 1939년 1월 일본군과 격전 중에 전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