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安重根 史記 |
|---|---|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 유형 |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영화 |
|---|---|
| 양식 | 드라마, 전기 |
| 작가 | 김정성 |
| 감독 | 이구영 |
| 출연자 | 양백명|이업동|극단 청춘 극장 단원들 |
| 주요등장인물 | 안중근|이등박문 |
| 창작|발표 시기/일시 | 1946년 |
1946년 3월 이구영 감독이 안중근의 하얼빈 의거를 주요 소재로 하여 만든 영화.
영화 「안중근 사기」는 이구영이 감독을 맡고, 김정성의 원작을 영화로 만든 작품이다. 계몽 문화 협회에서 제작을 맡았고, 조중헌이 기획을, 양세웅이 촬영을, 김성춘이 조명을, 이구영이 편집을 맡았다. 해방 공간에서 이전과는 다른 연출력을 선보인 이구영의 작품이다.
이구영은 해방 공간에서 두 작품을 연출하였다. 하나는 「안중근 사기」(1946)였고, 다른 하나는 「삼일 혁명기」(1947)였는데, 전자는 안중근의 일대기를 그린 전기영화였고, 후자는 3.1 운동을 전후한 선열들의 수난의 일대기를 그린 사극 영화였다. 이 두 영화는 이구영의 변화된 연출 세계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구영은 해방 이전에는 주로 남녀 간의 사랑과 애틋한 인연을 다룬 영화를 즐겨 선보였지만, 해방 이후에는 역사와 민족의 문제를 다루는 영화에 초점을 모으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