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용열차」

한자 軍用列車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영화
양식 친일 영화
작가 이규환(원작)
감독 서광제
출연자 왕평|문예봉|김한(김인규)|문동일|박무명|이채전|이인순|이춘정|김초부|최순례|독은기(이상 조선 배우)|사사키노노부코(佐佐木信子)|고바야시시게지로(小林重四郞)(이상 일본 배우)
공연시간 66분
창작|발표 시기/일시 1938년 6월 29일
초연|시연장 약초 극장
정의

1938년 조선의 영화사 성봉 영화원과 일본의 메이저 영화사 동보 영화사가 합작한 첫 번째 작품으로, 1930년대 후반 철도운전사 김점용의 스파이 활동과 그 반성을 다룬 본격적인 친일 영화.

개설

영화 「군용열차」는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본격적인 친일 영화의 기치를 들어 올리는 계기가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품의 내용은 1930년대 후반 중국과 일본, 그리고 조선의 문제를 배면에 깔고 있다.

「군용열차」는 주로 영화 비평가로 활동했던 서광제의 감독 데뷔작이었다. 홍찬과 곡구천길(谷口千吉)이 제작을 맡고, 서광제가 감독을 맡았으며, 좌등무(佐藤武)가 조감독을 맡은 영화였다. 이 밖의 스텝으로 기획 홍찬, 원작 이규환, 각색 이규환과 키쿠치모리후미(菊地盛史), 촬영 양세웅, 조명 최진, 음악 이등승(伊藤昇) 등을 꼽을 수 있다. 당초 예정대로 왕평과 문예봉이 주연을 맡았으며, 김한(김인규), 문동일, 박무명, 이채전, 이인순, 이춘정, 김초부, 최순례, 독은기 등의 조선 배우와, 사사키노노부코(佐佐木信子)와 고바야시시게지로(小林重四郞) 등의 일본 배우가 출연했다.

공연 상황

「군용열차」의 크랭크 인은 1938년 2월 17일 신촌(新村)에서 이루어졌고, 3월에 스텝진이 완전히 결정되고 3월 10일 경에 경성에서의 촬영이 완료되었다. 5월 중순 무렵에야 「군용열차」는 촬영을 마무리하고 녹음 과정에 접어들 수 있었다. 당초 「군용열차」는 1938년 6월에 개봉될 예정이었으나, 촬영 지연에 따라 개봉도 늦추어지면서 8월에서야 일본 전역에서 개봉되었고, 조선에서는 약초 극장에서 상영될 수 있었다.

구성

첩보 영화를 표방하면서 제작되었으나, 일제의 침략 의지와 전쟁 정당성을 강화하는 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다.

내용

「군용열차」의 내용은 국가 기밀을 엄수하여 국가의 이익을 도모해야 한다는 일제의 대외 정책을 지지하고 있다. 주인공 김점용[왕평 분]은 군용열차의 기밀을 중국인 스파이에게 넘기고 그 대가(代價)로 사랑하는 여인과 결혼하려 한다. 김점용이 사랑하는 여인은 기생 김영심[문예봉 분]이었는데, 그녀가 기생 일을 그만두기 위해서는 돈 2천원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김점용은 처음에는 이 돈을 구하기 위해서 국가 기밀을 넘기지만, 곧 이러한 행동을 뉘우치고 자수하여 스파이 일당을 체포하는데 혁혁하게 공헌한다.

의의와 평가

「군용열차」는 자본의 독립성과 자립성이 미흡했던 성봉 영화원이 두 번째로 제작에 나선 영화였다[제작이 무산된 영화 「해바래기」까지 합치면 세 번째 제작 영화]. 신코키네마사 측 자본과 결별 이후 자본의 압박에 시달리던 성봉 영화원은, 「군용열차」를 통해 조선 영화계에 진출을 모색하던 일본계 영화사 동보 영화사와 제휴하여, 제작 자본의 유입을 적극적으로 유도하지 않을 수 없었다.

「군용열차」의 제작이 실질적으로는 일본 영화의 기술과 영향력 아래에서 이루어졌으며, 조선 영화의 자립적 제작이나 미래 성장이 당시로는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조선 영화계[혹은 성봉 영화원]의 사정이 열악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1938년에 제작되어 개봉된 조선과 일본의 합작영화로, 조선의 영화사 성봉 영화원과 일본의 메이저 영화사 동보 영화사가 합작한 첫 번째 작품이었으며, 친일 영화의 효시작으로 인정되는 작품이기도 하다. 「군용열차」는 이후 조선에서 제작되는 친일 국책 영화의 신호탄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김남석, 「1930년대 조선의 영화 제작사 ‘성봉 영화원’을 통해 본 영화 자본과 작품 창작의 관련성 연구」, (『인문 과학 연구』37, 강원 대학교 인문 과학 연구소, 2013)
  • 한국 영화 데이터 베이스 (http://www.kmdb.or.kr)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