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강 평원

한자 三江 平原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흑룡강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지명/자연 지명
면적 10.89만㎢
전구간 흑룡강성
정의

중국흑룡강성 동북부에 있는 평원.

개설

삼강 평원흑룡강, 우수리강송화강 등 3개 하천이 합류하고 충적되면서 지세가 낮게 평평하고 비옥한 대면적의 토지를 형성하였다. 삼강 평원은 흑룡강성 동부에 위치하며 북쪽으로 흑룡강으로부터 남쪽으로 흥개호(興凱湖)에 이르며 서쪽은 소흥안령과 인접하고 동쪽은 우수리강까지 이른다.

행정구역은 가목사시(佳木斯市), 학강시(鶴崗市), 쌍압산시(双鴨山市), 칠대하시(七臺河市)계서시(鷄西市) 등에 속해있는 21개 현·시와 할빈시에 속해있는 의란현을 망라하고 있다. 삼강 평원에는 현재 52개 국영농장과 8개 삼림공업국을 포함하고 있다.

명칭 유래

삼강 평원흑룡강, 우수리강, 송화강 등 3개 하천이 합류하여 지어진 명칭이다.

자연 환경

삼강 평원이 위치한 곳은 위도가 높지만 연 평균기온이 1~4℃이고여름은 따뜻하고 가장 더운 달의 평균기온은 22℃이상이 된다. 연 강수량은 500~600㎜이고 6~8월에 집중되어 있고 고온기와 다우기가 일치하여 농업생장에 적합하다. 평원범위 내 물자원이 풍부하여 총량이 187.64억㎥나 되며 일인당 경작지 면적은 전국 평균수준의 5배나 된다. 저산구릉 지역에는 252만 ha의 침·활 혼교림이 분포되어 있다.

삼강 평원은 광활한 저평지이며 홍수기가 돌연적으로 발생되는 하천과 계절성 동토대 토질이 지표에 장기적으로 습도를 더해주어 수분이 많이 집중되면서 대면적의 소택수체를 형성하고 소택화 피복 토양이 독특한 소택경관을 구성하였다.

현황

현재 삼강 평원은 환경 상황이 양호하고 광대한 임지, 농촌과 대부분 농장의 대기 질이 매우 깨끗하다. 천연 소택 습지 면적은 134.7만㏊로서 중국의 6개 국가급 습지 자연보호구가 설립되었으며 그중 3개는 국제 중요 습지로 지정되었다. 삼강 평원은 중국 국가 지리 잡지에서 중국의 10대 ‘살기 좋은 곳’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삼강 평원은 ‘북대황’으로 불리며 1950년대에 대규모적으로 개간되기 전에는 소택 면적이 넓고 삼림이 무성하며 야생 동물이 아주 많았는데, 개간 후에는 대형 국영농장 등을 설립하여 ‘북대황’으로부터 식량생산량이 엄청난 ‘북대창’으로 바뀌었으며 중국의 중요한 상품 알곡기지로 되었다.

참고문헌
  • 김추윤, 『중국의 국토환경』(한국학술정보, 2005)
  • 김동하, 『중국지리의 이해』(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3)
  • 박승삼, 「中國 黑龍江省의 農業槪況과 三江平原의 土壤特性」(『90년 제45차 학술발표회』, 한국토양비료학회, 1990)
  • 김춘송, 「1990年代 中國의 對外開放과 三江平原 開發」(『중국연구』12, 건국대학교 중국문제연구소, 1993)
  • 제효안, 「동북 삼강평원 개발현황과 투자환경 분석」(『중국연구』12, 건국대학교 중국문제연구소, 1993)
  • 고재모, 김민철, 「中國 東北地域에서의 農業現況과 開發: 三江平原 개발을 중심으로」(『한국농촌경제연구원논집』 6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5)
  • 남병원, 박진환, 「중국 동북지역 삼강평원 국영농장들의 개척사」(『북방농업연구』11, 북방농업연구소, 2001)
  • 강인욱, 「靺鞨文化의 形成과 2~4세기 읍루·선비·부여계문화의 관계」(『고구려발해연구』33, 구려발해학회, 2009)
  • 이종수, 「三江平原地域초기철기문화의 특징과 사용집단 분석」(『고구려발해연구』41, 고구려발해학회, 2011)
  • 李禎 等, 『東北地區自然地理』(高等教育出版社, 1998)
  • 白文杰, 「淺談三江平原濕地開發對生態環境影響」(『技致富向導14, 山東省科學技術協會, 2011)
  • 常守志 等, 「1954-2005年三江平原生態系統服務價値損失評估」(『農業系統科學與綜合硏究』27-2, 中國系統工程學會農業系統工程委員會 中國科學院黑龍江農業現代化硏究, 2011)
  • 朱海濱 等, 「三江平原樺南縣城周圍水資源合理配置方略」(『水利科技與經濟』17-11,哈尔濱市水務科學硏究院;哈尔濱市水利規劃設計硏究院;哈尔濱市水利學會, 2011)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