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눈 평원

한자 松嫩 平原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흑룡강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지명/자연 지명
면적 18만㎢
전구간 흑룡강성 서남부와 길림성 서북부
정의

중국흑룡강성 서남부와 길림성 서북부에 있는 퇴적 평야.

개설

송눈 평원은 흑룡강성 서남부에 있는데 남쪽은 송료분수령을 경계선으로 하고 북쪽은 소흥안령 산맥과 연결되었으며 동서는 각각 동부 산맥과 대흥안령과 인접하였다. 면적은 약 18만㎢로서 동북 평원 전체 면적의 반 이상을 점한다. 그중 경작지 면적은 5.6만㎢이다. 송눈 평원은 비옥한 흑색 토양으로 유명하다.

명칭 유래

송화강눈강의 충적으로 형성되어 송눈 평원이라 불린다.

자연 환경

송눈 평원은 지질 역사 시기 지각 향상의 영향을 받아 지세가 높고 할빈~치치하얼~백성으로 이어지는 삼각형 지역으로 해발은 200~250m이다. 송화강눈강 회류 지대는 지세와 기후 등의 방면을 원인으로 비교적 큰 면적의 소택과 습지를 형성하였다. 평원 표면 해발은 120-300m인데 중부는 습지와 크고 작은 호수들로 분포되어 있다. 지세는 비교적 낮고 평탄하며 눈강송화강은 서쪽에서 남으로 흐르고 하천 부지가 넓다. 송눈 평원은 흑룡강성 전체면적의 3분의 1이상을 차지하는데 그중 경작지 면적은 559만 ha이다. 비옥한 토양, 흑토, 흑갈토가 60%이상을 차지한다. 이외 평원은 초원이 집중되고 축산업이 발달하였으며 지하 석유 자원이 풍부하다.

송눈 평원제2 송화강 하류 유역은 중국의 유명한 흑토지의 고향이다. 송눈 평원은 지형이 광활하고 비옥한 흑토가 많아 우크라이나 대초원, 미국미시시피강 유역의 흑토 지대와 더불어 세계 3대 흑토 지대로 불린다. 송눈 평원은 중국의 중요한 상품 알곡 생산 기지 중의 하나로서 쌀, 옥수수 등을 대량으로 생산한다.

면적은 18만㎢이고 연강수량은 580㎜이며 물자원량은 96억㎥이고 연평균기온은 2∼6℃이며 삼림피복이 42% 가량을 차지한다.

현황

송눈 평원은 중국의 중요한 상품량 생산기지로서 콩, 옥수수, 감자, 소밀, 아마, 해바라기 등의 산지이다. 이외에 중국의 가장 큰 유전인 대경유전이 송눈 평원에 위치해 있다. 송눈 평원의 주요한 문제는 알칼리성 토양이다. 2010년에 알칼리성 토양의 개량에 있어 중대한 돌파를 가져와 PH10.3 이상의 엄중한 알칼리성 토양 200헥타를 개량하는 데에 성공하였으며 벼와 수수 등을 성공적으로 재배하였다.

참고문헌
  • 김추윤, 『중국의 국토환경』(한국학술정보, 2005)
  • 김동하, 『중국지리의 이해』(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3)
  • 정징원,「中國東北地方의 隆起文土器: 松嫩平原地域을 中心으로」(『한국고고학보』26, 한국고고학회, 1991)
  • 주영강,「中國東北境內的燕秦漢長城與早期鐵器時代文化」(『사학지』46, 단국대학교사학회, 2013)
  • 김선녀, 「중국의 식량생산지역과 식량수급전망에 관한 연구」(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양범, 「중국 동북 3성의 경제적 특징과 성장전략」(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高璐 等, 「松嫩平原耕作黑土Cu, Pb, Zn的汚染現狀分析」(『中國農學通報』27-6, 中國農學會, 2011)
  • 郭曉東 等, 「黑龍江松嫩平原區環境地質對地下水動態的響應研究」(『安徽農業科學』39-23, 安徽省農業科學院, 2011)
  • 郭曉東 等, 「吉林松嫩平原區地下水動態及其驅動因素分析」(『農業科學與技術』2011-5, 哈爾濱市水務科學硏究院;哈爾濱市水利規劃設計硏究院;哈爾濱市水利學會, 2011)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