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 평원

한자 東北 平原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흑룡강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지명/자연 지명
면적 35만 ㎢
높이 200m이하
길이 1000㎞
400㎞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2년 12월 18일
전구간 대흥안령과 소흥안령 및 백두산지 사이
정의

중국 동북 3성[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의 동북부에 있는 중국 최대의 퇴적 평원.

개설

동북 평원은 중국의 제일 큰 평원으로써 대흥안령과 소흥안령 및 장백 산지 사이에 위치해 있다. 남북 길이는 약 1,000㎞이고 동서 너비는 약 400㎞이며 면적은 35만 ㎢에 달한다. 동북 평원은 3개 부분으로 나뉘는데, 동북부는 주로 흑룡강, 송화강우수리강의 충적으로 생긴 삼강 평원이고 중부는 송화강눈강의 충적으로 생성된 송눈 평원이며 남부는 주로 요하의 충적으로 생성된 요하 평원이다.

동북 평원의 토질은 비옥한 흑토이므로 농업 생산에 극히 유용하다. 그리하여 길림성 북부지역은 세계 3대 황금 옥수수지대 중의 하나이다. 여러 해 동안 흑룡강성의 식량 총생산량은 전국 제일이고 길림성의 단위 면적당 식량 생산량은 전국에서 가장 높아 동북 평원은 명실상부한 중국의 식량 창고로 불리고 있다.

명칭 유래

동북 평원은 중국의 동북쪽에 위치하여 얻어진 이름이다.

자연 환경

동북 평원은 중국에서 가장 큰 평원으로써 송료 평원이라고도 한다. 동북 지구의 중부에 위치하여 있고 북위 40° 25′~48° 40′ 동경 118° 40′~128°에 있다. 남북길이는 약 1,000㎞이고 동서 너비는 약 400㎞이며 면적은 35만 ㎢에 달한다.

평원의 동서 양측은 장백 산지와 대흥안령 산지이고 북부는 소흥안령 산지이며 남부는 요동만과 인접하여 있다.

현황

동북 평원은 중국에서 가장 큰 평원으로 동북 지구의 중부에 위치하여 있으며 삼강 평원, 송눈 평원, 요하 평원을 포함하고 있다. 동, 서, 북 삼면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북으로는 눈강 중류로부터 남으로는 요동만까지 남북길이는 1,000㎞에 달하고 동서는 400㎞에 달한다. 면적은 약 35만㎢로 중국동북 지구의 28%를 차지하고 있다.

동북 평원은 주로 요하, 송화강, 눈강우수리강 등 하류들의 충적으로 인해 생성된 것이다. 대부분의 해발고도는 200m 이하이고 넓고 평탄하며 경사도가 아주 작다. 장춘 부근의 송료 분수령 지구만 지세가 조금 높아 200~250m이다. 분수령 이남은 요하 평원이라고 부르고 이북은 송눈 평원이라고 부른다. 동북 평원은 토지가 비옥하여 옥수수, 콩 등을 많이 재배한다.

참고문헌
  • 김추윤, 『중국의 국토환경』(한국학술정보, 2005)
  • 김동하, 『중국지리의 이해』(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3)
  • 박승삼, 「中國 黑龍江省의 農業槪況과 三江平原의 土壤特性」(『90년 제45차 학술발표회』, 한국토양비료학회, 1990)
  • 정징원, 「中國東北地方의 隆起文土器;松嫩平原地域을 中心으로」(『한국고고학보』26, 한국고고학회, 1991)
  • 김춘송, 「1990年代 中國의 對外開放과 三江平原 開發」(『중국연구』12, 건국대학교 중국문제연구소, 1993)
  • 제효안, 「동북 삼강평원 개발현황과 투자환경 분석」(『중국연구』12, 건국대학교 중국문제연구소, 1993)
  • 고재모, 김민철, 「中國 東北地域에서의 農業現況과 開發: 三江平原 개발을 중심으로」(『한국농촌경제연구원논집』 6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5)
  • 권태원, 「中國東北平原과 古朝鮮文化圈」(『충남사학』11, 충남사학회, 1999)
  • 남병원, 박진환, 「중국 동북지역 삼강평원 국영농장들의 개척사」(『북방농업연구』11, 북방농업연구소, 2001)
  • 강인욱, 「靺鞨文化의 形成과 2~4세기 읍루·선비·부여계문화의 관계」(『고구려발해연구』33, 구려발해학회, 2009)
  • 이종수, 「三江平原地域초기철기문화의 특징과 사용집단 분석」(『고구려발해연구』41, 고구려발해학회, 2011)
  • 주영강, 「中國東北境內的燕秦漢長城與早期鐵器時代文化」(『사학지』46, 단국대학교사학회, 2013)
  • 이종수, 「요하 평원지역 ‘燕 유적’의 특징과 사용집단에 대한 재검토」(『동북아역사논총』44, 동북아역사재단, 2014)
  • 吉林省地方志編纂委員會, 『吉林省志』(吉林人民出版社, 1991)
  • 李禎 等, 『東北地區自然地理』(高等教育出版社, 1998)
  • 黑龍江省地方志編纂委員會, 『黑龍江省志』(黑龍江人民出版社, 1999)
  • 延邊州地方志(http://www.ybzdfz.com)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