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강벌

한자 平崗벌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두도진  
시대 근대/근대|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지명/자연 지명
면적 45.5㎢
전구간 길림성 화룡시 두도진
정의

중국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두도진에 있는 평원.

개설

화룡시 동북쪽에 위치한 평원으로서 면적은 약 400㎢에 달한다. 평강벌연변에서 가장 일찍 개발된 지역의 하나로 화룡시 동성진(東城鎭), 두도진(頭道鎭), 서성진(西城鎭), 팔가자진(八家子鎭)이 포함된다.

이곳은 해란강, 장인강, 복동하의 충적으로 평탄한 평원이 넓게 펼쳐져 벼 재배에 매우 적합하다. 그리하여 일찍 발해 시기에 이미 벼를 생산했다는 기록이 있다. 발해가 멸망한 후, 연변 지역은 거의 무인지경으로 되었고 특히 청조가 약 200년간 실시한 “봉금령”으로 연변지역은 더욱 인적이 드문 곳으로 되었다.

19세기 말부터 한반도에서 이주해 온 조선인들이 평강벌을 다시 개척하기 시작하면서 이곳은 다시 벼농사가 행해지기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연변에서 가장 규모가 큰 벼 생산 기지이자 곡창으로 되었다. 평강벌의 연평균기온은 5.4℃이고 연평균 무상기는 140일이고 연평균 일조시간이 2,500시간이어서 벼의 생장에 매우 유리하다.

자연 환경

평강벌[평강 평원]은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로, 동쪽은 화룡시용정시의 경계를 이루는 비암산이 솟아있고 서쪽은 해발이 600m가 넘는 무명의 산이 가로막고 있으며 북쪽과 남쪽은 낮은 구릉이 펼쳐져 있다. 평균 해발은 250~300m이다.

해란강이 평원의 중심을 서에서 동으로 가로지르고 해란강 지류인 장인강과 복동하가 해란강에 주입된다. 토양은 주로 벼 생산에 유리한 수도토이다.

현황

평강벌이 분포된 두도진의 지세는 평탄하고 토양이 비옥하고 삼투성이 좋아 주로 벼를 재배한다. 여기에는 발해 시기 중경인 서고성(西古城)과 발해 시기 제 3대 문왕의 넷째 공주인 정효공주묘가 있어 이곳이 발해 시기 주요한 중심지였음을 방증해 준다.

현재 화룡시에서는 평강 평원에 평강 녹주 휴가원구(平崗綠洲休閑園區)를 개발하여 녹색 벼 생산기지, 역사 유적 관광, 조선족 특색 민속촌 관광 및 새농촌 건설 시범촌 관광 등의 관광 상품을 적극 개발하고자 계획하고 있다.

참고문헌
  • 방학봉, 『발해의 강역과 지리』(정토출판, 2012)
  • 윤재운, 「발해 중경시기 대외관계의 양상과 의미」(『고구려발해연구』34, 고구려발해학회, 2009)
  • 이기석, 「발해 초기 도성의 입지와 지리환경」(『대한민국학술원논문집』48, 대한민국학술원, 2009)
  • 문상명, 「한국 고지도에 표현된 백두산 동류 수계」(『한국지역지리학회지』19-2,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 和龍縣地名委員會編, 『和龍市地名志』(和龍縣人民政府, 1984)
  • 龍井縣地名委員會編, 『龍井縣地名志』(龍井縣人民政府, 1985)
  • 延邊州地方志(http://www.ybzdfz.com)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