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릉하

한자 穆棱河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흑룡강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지명/자연 지명
면적 18,427㎢
길이 834㎞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3년 8월
전구간 흑룡강성
정의

흑룡강성과 길림성 경계에서 발원하는 우수리강의 서쪽 최대 지류.

개설

목릉하는 목릉울집령(穆棱窩集嶺)에서 발원하여 서남에서 동북으로 흐르는 하천이다. 목릉, 계서, 계동, 밀산, 호림 등의 현·시를 경유하여 호림시에서 두 갈래로 나뉜다.

명칭 유래

요, 금 시기에는 모련하(毛憐河) 혹은 목릉수(暮棱水)라고 불렸다. 원나라에는 목력하(莫力河)라 불렸다가 명나라에는 매란하(麥蘭河)로 불렸다. 청조 초기에는 목륜하(木倫河), 목릉하(木楞河)로 불리다가 청조 말기에 현재의 목릉하로 고쳐 불렀다.

목릉하는 만주어인데 ‘말’ 혹은 ‘말을 방목 한다’는 뜻이다. 이는 목릉하 유역은 고대 발해국의 말 방목장인 역사에 의해 명명된 것이다.

자연 환경

목릉하우수리강 서쪽 중국 측에서 가장 큰 지류이다. 목릉하호림시에서 두 갈래로 갈라지는데 한 갈래는 목릉수로를 따라 흥개호로 주입되고, 다른 한 갈래는 목릉하의 지하도를 따라 동쪽으로 흘러 우수리강에 주입된다.

하천의 길이는 834㎞이고 유역 면적은 18,427㎢이다. 목릉하는 계관산(鷄冠山)까지가 상류인데 대부분 지역이 산이 중첩되고 골짜기는 깊으며 하천은 좁아 경사도가 심하며 유속이 급한데 이는 목릉하 유역의 폭우 중심이자 홍수발원지이기도 하다.

폭우가 집중되면 지표 침식이 심하다. 목릉하는 산지성 하류에 속하며 하도 낙차는 699m이다. 다년간 평균 유량이 23.5억㎥이다. 수력 자원이 매우 풍부하지만 아직 대부분 개발·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현황

2011년 11월, 흑룡강목릉하 유역 수질이 오염되어 부분적 연안 주민의 물 공급이 어려운 상황을 초래하였다. 목릉하 상류의 목릉시 환경보호국에서는 오염 기업의 오염원을 조사하고 전면적인 복구사업을 진행하였다.

참고문헌
  • 初同遠, 曹淑琴, 「黑龍江省穆棱河穆棱水文站豫報方案說明」(『水利水電技術』2011-6, 水利部發展硏究中心, 2011)
  • 李平 等, 「穆棱河流域雞西段水汚染現狀分析及治理方案」(『鷄西大學學報綜合版』2011-6, 鷄西大學, 2011)
  • 孟祥秋劉長江, 穆棱河永遠丁字壩護岸工程設計與施工(『黑龍江水利科技』2012-4, 黑龍江省水利水電勘測設計硏究院, 2012)
  • 바이두(百度百科)(http://www.baidu.com)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