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紅旗河 |
|---|---|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지명/자연 지명 |
|---|---|
| 면적 | 86.6㎢ |
| 길이 | 21㎞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40년 3월 25일 |
| 전구간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
홍기하는 혼춘시 동북 양포만족향(楊泡滿族鄕)에 위치해 있다. 흑산(黑山)에서 발원하여 동남~서북 주향으로 흐르다가 동연통라즈[東煙筒礫子] 시냇물과 서연통라즈[西煙筒礫子] 시냇물이 합류하여 대홍기촌과 소홍기촌을 거쳐 혼춘하로 흘러든다. 총 길이는 21㎞이고 유역 면적은 86.6㎢이다.
1940년 3월 25일 항일 연군 제1로군 제2방면군은 무산을 공격하려고 할 때 뒤따라 추격해온 일본군 토벌사령부 관하의 마에다 부대를 비롯한 특수 부대를 홍기하에서 맞아 140여 명을 살상하고 30여 명을 포로로 잡았으며 경기관총 6정, 소총 100여 정, 권총 30여 정, 무전기 1대, 총탄 수만 발을 노획하는 승리를 거두었다.
중화민국 초기에 붉은 색을 띠는 위성류(渭城柳)가 많았는데 이들이 강물에 비친 모습이 아름다웠다고 한다. 현재 강변에 버드나무들이 우거져 있는데 이는 ‘혼춘팔경’ 중 하나이다. 홍기하는 연어가 산란·회유하는 곳이기도 하다.
홍기하 유역은 크게 소홍기하촌과 대홍기하촌으로 나뉜다. 소홍기하촌은 양포향(楊泡鄕) 동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3개의 자연 부락에 약 110가구가 살고 있다. 그 중 한족, 조선족, 묘족이 있다. 이 촌은 하곡 지대로서 해발고는 200~300m이다. 소홍기하촌의 경작지는 291ha이다. 그 중 논이 55ha이고 밭이 236ha인데 주로 벼, 옥수수, 조 등을 경작하고 있다.
대홍기하촌은 양목임자(楊木林子) 동북쪽 8.5㎞ 지점에 위치하여 있는데 약 44가구의 조선족이 살고 있다. 이곳도 하천 곡지인데 116ha의 경작지를 소유하고 있다. 그 중 논과 밭이 각각 36ha와 80ha이다. 주요 농작물은 벼, 옥수수, 조, 콩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