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하

한자 嘎呀河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  도문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지명/자연 지명
면적 6,242㎢
길이 108.7㎞
25m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3년 10월 9일
전구간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왕청현 노송령에서 발원해서 해란강과 합쳐 두만강 합류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왕청현 노송령에서 발원해서 해란강과 합쳐 두만강으로 흘러드는 지류 하천.

개설

가야하노송령에서 발원하고 유역 면적은 6,242㎢이다. 금조 시기에는 잔준하(潺蠢河)라고 불렀다가 청조 시기에는 ‘가합리하(噶哈哩河)’라고 불렀다. 『길림통지』에는 ‘십삼도가야하’라고 기록되어 있다.

파강[坡降, 하천수면의 단위거리에서의 낙차]은 1.6‰로 석현과 삼도구 수문자 료의 기재에 의하면 1955~1980년 평균 유량은 36.4㎡/초이고 최소 유량은 0.08㎡/초이다. 다년간의 연평균 경유량은 11.9억㎥이고 다년간의 평균 토사 함량은 0.27k/㎥이며 다년간의 연평균 토사수송량은 28.1만 톤/년이다.

명칭 유래

가야하는 만족 언어로 ‘채주하(彩珠河)’를 발음한 것이다.

자연 환경

가야하의 연평균 강수량은 500~650㎜이고 분포량은 불균형적이며 동북으로부터 서남으로 가면서 점차 강수량이 많아진다. 가야하는 반습윤 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현황

가야하왕청현을 지나 도문에 이른 다음 두만강에 흘러든다. 하천의 길이는 108.7㎞이고 유역 면적은 6,242㎢이다. 수면의 낙차는 26.5m이고 하도의 평균 파강은 0.68‰이다. 석현진(石峴鎮)과 홍광향(紅光鄕) 구간에는 양안에 제방을 쌓아 올렸고 총길이는 17.55㎞이다.

가야하는 수량이 풍부하여 농공업 생산과 주변 주민들의 주요 수자원이기도 하다. 하지만 석현 조제 공장의 공업 폐기물에 의해 석현 상류는 약한 정도의 오염만 되어있지만 석현 하류는 오염이 심하다.

2013년 여름의 계속되는 폭우로 인하여 왕청현에서는 길림성 수리청의 비준을 받고 가야하에 제방을 쌓기로 하였다. 왕청현 왕청하 도시 구역 홍수 방지 공정, 난간과 채색 벽돌 공정 건설 자금은 길림성 수리 건설 기금에서 지불하고 왕청현 수리건설 관리 판공실에서 총괄하고 있다.

가야하 구간의 왕청현 백초구진에는 유명한 만천성(滿天星) 풍경구가 있다.

참고문헌
  • 주철, 『도문강 하류 하안사구 지형경관에 관한 연구』(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珲春市地方志編纂委員會, 『珲春市志』(吉林文史出版社, 2000)
  • 延邊朝鮮族自治州土地志編纂委員會, 『延邊朝鮮族自治州土地志』(延邊人民出版社, 2002)
  • 汪清縣地方志編纂委員會, 『汪清縣志』(李林生新聞出版局, 2002)
  • 圖們市地方志編纂委員會, 『圖們市志』(吉林文史出版社, 2006)
  • 金哲 等, 「嘎呀河水資源現狀分析」(『東北水利水電』2010-11, 水利部松遼水利委員會, 2010)
  • 延邊州地方志(http://www.ybzdfz.com)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