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英額嶺 |
|---|---|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지명/자연 지명 |
|---|---|
| 높이 | 1000m이상 |
| 길이 | 15㎞ |
| 폭 | 9~14㎞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8년 9월 28일 |
| 전구간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안도현과 화룡시, 용정시의 경계 |
영액령 명칭은 만주족 언어인 란리자(爛李子)에서 유래되었다.
영액령은 화강암, 고생대 변성암으로 이루어졌고, 주요 토양 성분은 산성암 회종양, 산성암 준회종양이다. 경사도는 5~22°이고 버드나무와 자작나무를 중심으로 한 활엽 자생림 혹은 관목이 주를 이룬다. 경사도가 적은 지역은 농경지이며 부분적으로 수토 유실 현상을 동반한다.
영액령의 길이는 15㎞, 너비는 9~14㎞, 해발 고도는 1㎞이며 부르하통하[布尔哈通河]와 고동하(古洞河) 및 해란강(海蘭江)의 지류인 장인강(長仁江)의 분수령을 이루고 있다.